동향

Simulation of Aqueous Blend of Monoethanolamine and Glycerol for Carbon Dioxide Capture from Flue Gas

행사&학회소개
1. 서론
2. 방법
3. 모델시스템의 열역학적 및 이동 물성
4. 화학반응 모델
5. 결과 및 토론
5.1. 속도기반 모델의 유효성 검사
5.2. MEA흡수제 경우의 모사(MEA+CO2)
5.3. 글리세롤 용매 경우의 모사(글리세롤+CO2)
5.4. MEA흡수제와 글리세롤 촉진제 경우의 모사(MEA+글리세롤+CO2)
6. 결론
7. 참고문헌
보고서작성신청
본 논문에서는 글리세롤 용매를 사용한 CO2 배가스의 분리에 대하여 연구조사하였다. 즉,세 경우(경우1: MEA+CO2, 경우2: 글리세롤+CO2, 경우3: MEA+글리세롤+CO2)에 대하여, 유사한 조건하에서의 CO2 흡수분리공정을 속도기반 모델을 사용하여 모사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하였다. 용매모델은 경우1과 경우3은 ENRTL-RK 열역학 모델을, 경우2는 NRTL-RK 열역학 모델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글리세롤을 MEA 흡수제의 촉진제로 사용할 수 있는바, 최적 글리세롤 농도는 10-40% 이며, 결과적으로 CO2 제거효율이 10 wt% MEA흡수제만 있는 경우 62.24%에서, 10 wt% MEA흡수제+10 wt% 글리세롤 흡수제의 경우 64.33%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