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geted mitochondrial uncoupling beyond UCP1 - The fine line between death and metabolic health
2016-12-15
org.kosen.entty.User@10ca32eb
조준석(jscho0191)
행사&학회소개
소개
미토콘드리아 언커플링의 대사효과
- DNP
- 차세대 화학 언커플러
- 간을 표적으로 하는 화학 언커플러
백색 지방 저장소에 UCP1의 발현
- 백색지방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대사작용 결과
- 백색지방 저장소에 내생 UCP1의 발현
근골격근에 UCP1의 발현
- 근육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대사 작용 결과
- 근육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맞춤 대사작용의 리모델
- 근육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노화 지연
미토콘드리아 언커플링의 대사효과
- DNP
- 차세대 화학 언커플러
- 간을 표적으로 하는 화학 언커플러
백색 지방 저장소에 UCP1의 발현
- 백색지방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대사작용 결과
- 백색지방 저장소에 내생 UCP1의 발현
근골격근에 UCP1의 발현
- 근육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대사 작용 결과
- 근육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맞춤 대사작용의 리모델
- 근육 미토콘드리아 언커플에 의한 노화 지연
보고서작성신청
1930년대, uncoupler 2,4-dinitrophenol (DNP)는 효과적인 다이어트 약으로 각광 받았으나 조직 특이성이 없어 사망에 까지 이르는 많은 부작용으로 인해 시장에서 회수 되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비만, 당뇨, 지방간등을 치료하기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uncoupler를 찾는 연구는 계속 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년간 유전자변형 동물모델의 발전과 함께 지방세포와 근육에서 uncoupler protein 1 (UCP1)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실제 미토콘드리아에서 UCP1이 과발현 되었을때 비만, 고중성지방혈증, 인슐린 저항성등이 개선 되었다. 본 분석은 현재까지 연구된 새로운 uncoupler들을 소개하고 미토콘드리아의 적응과정 이에 따른 대사 건강상태 등을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