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소견-3차
2016-12-16
org.kosen.entty.User@7f4dd11d
이승준(fovero)
다시 검토하면서 읽어보았습니다.
지난 검토에서 transfection에 대한 적절한 단어 선택에 고민이 있었습니다.
그냥 transfection으로 써도 무방하나, 이 원문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가 기존의 transfectinon 방법을 극복하는 세포 내 전달 시스템에 대한 이해과 진보된 기술현황과 전망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어서, 좀더 정확한 용어선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바이러스 백터 시스템을 통해 핵산을 세포에 도입하는 경우, 형질감염이 적절할 수도 있겠으나, 세포 안에 전달물질을 도입한다는 의미를 포괄하기 위해서는 transfection을 형질주입 으로 사용하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분석자분의 의견은 어떠하신지요?
의견 주시면 반영해서, 검토를 마칠까 합니다.
그리고,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 중 수정 안된 부분이 있어 다시 수정하였습니다.
우선, 형질감염이라고 표현된 부분은 모두 형질주입으로 수정해 두었습니다.
그럼 한번 더 확인 부탁드립니다.
지난 검토에서 transfection에 대한 적절한 단어 선택에 고민이 있었습니다.
그냥 transfection으로 써도 무방하나, 이 원문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가 기존의 transfectinon 방법을 극복하는 세포 내 전달 시스템에 대한 이해과 진보된 기술현황과 전망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이어서, 좀더 정확한 용어선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바이러스 백터 시스템을 통해 핵산을 세포에 도입하는 경우, 형질감염이 적절할 수도 있겠으나, 세포 안에 전달물질을 도입한다는 의미를 포괄하기 위해서는 transfection을 형질주입 으로 사용하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분석자분의 의견은 어떠하신지요?
의견 주시면 반영해서, 검토를 마칠까 합니다.
그리고,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 중 수정 안된 부분이 있어 다시 수정하였습니다.
우선, 형질감염이라고 표현된 부분은 모두 형질주입으로 수정해 두었습니다.
그럼 한번 더 확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