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Theoretical Investigations of CO2 and H2 Sorption in Robust Molecular Porous Materials

행사&학회소개
1. 서론
2. 계산방법
3. 결과 및 토의
3.1. CO2 흡착
3.1.1. 흡착 등온선
3.1.2. 흡착 등전자 흡착열
3.1.3. 흡착점
3.1.4. 유도된 쌍극자 분포
3.1.5. 에너지 기여
3.2. 수소흡착
3.2.1. 흡착 등온선
3.2.2. 흡착 등전자 흡착열
3.2.3. 흡착점
3.2.4. 유도된 쌍극자 분포
3.2.5. 에너지 기여
4. 결론
5. 참고문헌
보고서작성신청
실험식이 각각[Cu2(adenine)4Cl2]Cl2와 [Cu2(adenine)4(TiF6]인 두 견고한 분자 다공성 물질(molecular porous material, MPM)인 MPM-1-Cl과 MPM-1-TIFSIX를 흡착제로 한 CO2와 H2흡착의 분자 모사 계산을 수행하였다.그 결과, MPM-1-TIFSIX가 MPM-1-Cl보다 더 많은 CO2 흡착량과 등전자 흡착열을 가졌으며, 이 흡착열은 많은 현존 금속유기복합체와 지금까지 보고된 모든 MPM보다 높았다. 또한, 분자모사 결과, MPM-1-Cl은 단 한 종류의 주 흡착점을 가지는 반면에, MPM-1-TIFSIX는 세 종류의 흡착점, 즉, (1) 큰 채널들을 연결하는 작은 기공(passage) 안의 두 TIFSIX 기능기 간, (2) 큰 채널 표면에 늘어선 TIFSIX 이온 표면, 그리고 (3) 작은 채널 안 의 흡착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우수한 흡착거동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