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Car free cities: Pathway to healthy urban living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Methods.
3. Results
3.1. Plans for reducing or restricting car use in cities
3.2. Policy measures for reducing or restricting car use in cities
3.3. Cars owning public space
3.4. Competitiveness with other modes.
3.5. Contribution of car traffic to environmental exposures
4. Discussion
4.1. Moves towards public and active transportation
4.2. Alternative use of space.
4.3. Success stories and concerns
References
보고서작성신청
개인소유 자동차가 대도시 중심부를 통행하지 않은 자동차 무통행 도시의 실험을 함부르크, 오슬로, 마드리드, 파리, 밀라노, 더블린, 보고타, 청두 등의 대도시에서 시행해, 이산화질소의 농도가 40%나 저감되고 주차공간이 줄어들어, 인도와 자전거길이 증가되고, 지구온난화 가스의 방출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정작 한국의 서울에 대한 연구조사는 빠져 있다.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으로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현상으로서 서울중심가의 촛불집회와 태극기 집회가 매주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대기오염 등은 저하되고 있다고 하지만, 나이든 태극기 집회자의 음주와 흡연으로 인해 환경오염이 증가되고 있다는 기사도 나오고 있다. 노인들이 그 말년을 보내려고 아들딸이 사는 대도시로 모여드는 노인 도시집중 현상과 연관지어보면 종로3가의 파고다 공원에서처럼 새로운 도시환경오염 문제도 추가될 수 있다. 이제는 서울 특유의 자동차 없는 거리조성에 대한 장단점을 조사연구해 보아야 하는 시대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