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xy Environment in the 3D-HST Fields: Witnessing the Onset of Satellite Quenching at z~1-2
2017-04-27
org.kosen.entty.User@5c270ef2
이성국(joshua12)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The Observational Sample
3. Quan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3.1. Density
3.2. Edge Corrections
4. Overdensities in the 3D-HST Deep Fields
5. The Model Galaxy Sample
6. Calibration of Physical Parameters
7. Constraining Environmental Quenching Processes At z=0.5-2
7.1. Passive Fractions
7.2. Recovering the "Pure" Passive Fractions for Satellite Galaxies
7.3. Satellite Quenching Efficiency
7.4. Quenching Time Scales
7.5. Redshift Evolution of the Quenching Timescales
8.Discussion
8.1. Identification of the Main Mechanism
8.2. Delayed then Rapid or Continuous Slow Quenching?
8.3. The Gas Content of Satellite Galaxies
9. Conclusions
2. The Observational Sample
3. Quan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3.1. Density
3.2. Edge Corrections
4. Overdensities in the 3D-HST Deep Fields
5. The Model Galaxy Sample
6. Calibration of Physical Parameters
7. Constraining Environmental Quenching Processes At z=0.5-2
7.1. Passive Fractions
7.2. Recovering the "Pure" Passive Fractions for Satellite Galaxies
7.3. Satellite Quenching Efficiency
7.4. Quenching Time Scales
7.5. Redshift Evolution of the Quenching Timescales
8.Discussion
8.1. Identification of the Main Mechanism
8.2. Delayed then Rapid or Continuous Slow Quenching?
8.3. The Gas Content of Satellite Galaxies
9.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현재 우주에는 과거에 비해 그 별생성활동이 크게 줄어들거나 멈춘 은하들이 많은데, 이러한 별생성활동의 감소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 후보 중 하나가 은하군이나 은하단 같은 은하들이 밀집된 환경에서의 환경적 영향이다.
이 논문은 우주의 나이가 지금보다 75억년 정도 어렸을 때의 우주에서 은하군 및 은하단과같은 밀집된 환경에서 은하들의 별생성활동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현재 우주에서의 경향과의 비교를 통해 그 진화적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시에는 저자들이 사용한 분석방법 --- 은하들의 환경 분석 (Section 3)과 모형은하들을 이용한 분석 (Section6)--- 과 그로부터 도출된 결론 (Section 7 & 8)에 초점을 맞추면 좋을 것이다.
그 후보 중 하나가 은하군이나 은하단 같은 은하들이 밀집된 환경에서의 환경적 영향이다.
이 논문은 우주의 나이가 지금보다 75억년 정도 어렸을 때의 우주에서 은하군 및 은하단과같은 밀집된 환경에서 은하들의 별생성활동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현재 우주에서의 경향과의 비교를 통해 그 진화적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시에는 저자들이 사용한 분석방법 --- 은하들의 환경 분석 (Section 3)과 모형은하들을 이용한 분석 (Section6)--- 과 그로부터 도출된 결론 (Section 7 & 8)에 초점을 맞추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