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 Proteins and Their Regulators in Human Disease
2017-07-04
org.kosen.entty.User@4b65ae1
신동욱(biopang)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RAS as a Binary Switch
3. RAS Effectors
4. RAS Proteins in the Membrane
5. RAS May, or May Not, Be a Dimer
6. RAS and Its Close Relatives
7. RAS and Human Disease
8. Therapeutic Approaches
9. Future Prospects for Targeting RAS
2. RAS as a Binary Switch
3. RAS Effectors
4. RAS Proteins in the Membrane
5. RAS May, or May Not, Be a Dimer
6. RAS and Its Close Relatives
7. RAS and Human Disease
8. Therapeutic Approaches
9. Future Prospects for Targeting RAS
보고서작성신청
Ras 단백질들은 신호 전달 동안 On 및 OFF 상태로 순환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위치 역할은 정상적일때 상당히 잘 조절이 되는 반면, 종양, 정신 질환 같은 RAS 관련 질병들에서 RAS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났거나, 조절에 문제가 생겨서 RAS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어있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RAS가 조절되는 많은 경로나 스위치 기능의 구조적 배경에 대해서는 잘 밝혀졌으나, RAS 단백질의 기능에 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불분명하다. 모든 RAS 생물학은 주로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데, RAS와 세포막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RAS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RAS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분석물은 최근 RAS와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전망을 다루기에 분석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스위치 역할은 정상적일때 상당히 잘 조절이 되는 반면, 종양, 정신 질환 같은 RAS 관련 질병들에서 RAS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일어났거나, 조절에 문제가 생겨서 RAS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어있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RAS가 조절되는 많은 경로나 스위치 기능의 구조적 배경에 대해서는 잘 밝혀졌으나, RAS 단백질의 기능에 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불분명하다. 모든 RAS 생물학은 주로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데, RAS와 세포막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RAS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RAS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분석물은 최근 RAS와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향후 전망을 다루기에 분석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