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Wnt/Planar Cell Polarity Signaling: New Opportunities for Cancer Treatment

행사&학회소개
1. Not one bur several Wnt signaling pathways
2. The evolutionarily conserved PCP
3. Deregulation of Wnt/PCP signaling in cancer
3.1.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stemness
3.2. EMT
3.3. Cell migration and invasiveness
4. Wnt/PCP pathway in Host-Tumor interaction
5. Wnt/PCP pathway in resistance to treatment
6. Concluding remarks
보고서작성신청
암세포는 발암, 줄기세포 자가재생, 종양성장, 확산, 치료 저항성 등에 관련된 폭넓은 세포외 신호에 천착한다. Wnt 리간드와 연관 신호전달 체계는 이 과정 대부분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치료제 개발 접근이 용이할 수 있다. Wnt 신호 연관 항암제 개발 및 연구는 정형적 Wnt 신호(b-catenin 의존 신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Wnt 신호는 크게 b-catenin 의존 신호 및 b-catenin 비의존 신호(Wnt/PCP, Wnt/Ca2+ 신호)로 이루어져 있고 각 세부 신호 간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비정형 Wnt 신호에 대한 이해는 무척 적은 편이다. 최근, Wnt/PCP 신호가 초기 암과 말기 암 모두에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Wnt/PCP 신호에 관한 최신지견들을 정리하고 있고, 미해결 의문점, 암 발생과 연관된 Wnt/PCP 신호의 역할에 관한 믿을만한 연구결과들을 다루고 있다. 사실, Wnt신호연구와 Wnt 신호 연관 항암제 개발 노력이 오랜시간 지속되어왔음에도 효과적인 Wnt 항암제가 시장에 출시되지 못했다는 점은 그동안 연구, 개발 과정에서 간과했던 비정형적 Wnt 신호의 관련성, 다른 Wnt 신호 간의 상호작용에 원인을 찾을 수도 있겠다.
이 논문은 Wnt/PCP 신호체계와 암의 연관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어, 포괄적인 Wnt 신호의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