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ilience theory incorporated into urban wastewater systems management. State of the art
2017-08-15
org.kosen.entty.User@53102414
김오식(enviromath)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Resilience background
3. Literature review
4. Analysis of the reviewed academic studies
4.1. Stressors assessed
4.2. Properties of a resilient system
4.3. Metrics
4.4. Proposed interventions to increase resilience
5. Future research directions
6.conclusion reference
2. Resilience background
3. Literature review
4. Analysis of the reviewed academic studies
4.1. Stressors assessed
4.2. Properties of a resilient system
4.3. Metrics
4.4. Proposed interventions to increase resilience
5. Future research directions
6.conclusion reference
보고서작성신청
도시하폐수처리장은 어느 정도의 추가적인 외부 스트레스와 외인적 충격을 견딜 수 있는가 하는 탄력성과 융통성은 지구온난화 시대와 기후변화 시대에 대단히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 시대에 접어들고부터는 하루 500mm의 설계 강수량을 초과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에 따라 하폐수처리장의 설계용량을 뛰어넘는 하폐수량이 유입되는 경우도 많지만, 그 하폐수에 함유되는 각종의 유해물질이나 BOD량 및 COD량 등도 폭증한다고 볼 수 있어, 도시하폐수처리장의 처리능력이 일시적 정지가 아니라 영구적 파괴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도시하폐수처리장의 처리능력에 대한 탄력성과 융통성의 분석부터 먼저 해나가야 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