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17-2026

행사&학회소개
Chapter 1. Overview of the Agricultural Outlook 2017-202The setting: Record production levels and abundant stocks led to continued
price decreases in 2016
Summary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policy assumptionsConsumption
Production
Trade
Prices
Risks and uncertainties
Notes
References
Chapter 2. Southeast Asia: Prospects and challenges
Introduction
Developments in agriculture and fisheries in Southeast Asia
Medium-term outlook
Notes
References
Chapter 3. Commodity snapshots
Cereals
Oilseeds and oilseed products
Sugar
Meat
Dairy and dairy products
Fish and seafood
Biofuels
Cotton
Annex: Commodity snapshot tables
보고서작성신청
제3차 세계전쟁이나 대역병 같은 특별한 제한요인이 없는한 세계인구는 2023년 80억을 넘어 2050년에는 97억에 달할 것으로 UN 인구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제한된 지구 공간에서 번성한 역사가 없으므로, 실제로 80억 인구가 생존경쟁을 할 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인간에 의한 환경오염과 경제성장을 위한 자원고갈 등의 문제점이 예상되지만, 가장 당면한 문제는 당연코 식량문제일 것이다. UN산하 여러 국제기구들은 여러 산업분야의 향후 10년간의 전망치를 수시로 발표하고 있다. 본 자료는 지금부터 10년간의 주요 식량자원의 생산 및 교역부분에 대한 예측을 담고 있다. 특히 농업생산 증가의 여지를 많이 안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이웃한 중국과의 대규모 농업교역 등을 예상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이 산업강국이 될수록,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들의 식량문제도 점점 복잡한 상황을 맞이할 것이라는 것이 UN의 전망이다. 국내의 농수산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서 식량자급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국가적 전략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므로 분석을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