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 의견1
2017-09-17
org.kosen.entty.User@64e13b57
윤석환(sukhwan)
분석자께서 본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원문의 핵심 내용을 잘 정리하셨고 주요 항목에 따라 새로운 구조를 도입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단, 분석물 작성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표/그림/References]를 제외하고 분석 분량을 산정하게 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현재 분석물은 3페이지이므로 분석비 삭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기 내용을 추가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AEMFC를 처음 접하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인데, 한 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정리해주시면 되겠습니다.
1) 분석물의 그림 2에 해당하는 상세 내용(특히, AEMFC의 작동 이론)을 추가해주시길 바랍니다.
2) 원문 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AEMFC의 성능 인자(높은 음이온 전도성, 높은 활성의 PtRu촉매, 적절한 물 관리)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3) 원문 7-8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AEMFC의 성능 안정성 측정을 위한 시험 관련 내용을 추가해주시길 바랍니다.
※ 고분자 백본(polymer backbone)을 한글로 표현한다면, '고분자 주쇄'라고 표현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 같습니다.
단, 분석물 작성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표/그림/References]를 제외하고 분석 분량을 산정하게 되는데, 이 기준에 따르면 현재 분석물은 3페이지이므로 분석비 삭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기 내용을 추가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AEMFC를 처음 접하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내용들인데, 한 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정리해주시면 되겠습니다.
1) 분석물의 그림 2에 해당하는 상세 내용(특히, AEMFC의 작동 이론)을 추가해주시길 바랍니다.
2) 원문 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AEMFC의 성능 인자(높은 음이온 전도성, 높은 활성의 PtRu촉매, 적절한 물 관리)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3) 원문 7-8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AEMFC의 성능 안정성 측정을 위한 시험 관련 내용을 추가해주시길 바랍니다.
※ 고분자 백본(polymer backbone)을 한글로 표현한다면, '고분자 주쇄'라고 표현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