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ogramming to developmental plasticity in cancer stem cells
2017-09-25
org.kosen.entty.User@563ccfa8
이승준(fovero)
분야
생명과학
개최일
2017. 9 (in press)
신청자
이승준(fovero)
개최장소
URL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Phenotypic plasticity and lineage potential
2.1. Plasticity in development
2.2. Plasticity in adult tissue regeneration
2.3. Plasticity in cancer ? cancer stem cells
3. Cell reprogramming
3.1. Reprogramming in reproduction
3.2. Reprogramming in cancer
4.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4.1. Phenotypic plasticity and EMT
4.2. Metabolic changes
4.3. Quiescence
5. Future outlook
6. Conclusion
2. Phenotypic plasticity and lineage potential
2.1. Plasticity in development
2.2. Plasticity in adult tissue regeneration
2.3. Plasticity in cancer ? cancer stem cells
3. Cell reprogramming
3.1. Reprogramming in reproduction
3.2. Reprogramming in cancer
4.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4.1. Phenotypic plasticity and EMT
4.2. Metabolic changes
4.3. Quiescence
5. Future outlook
6.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발생 과정과 성숙한 걔체를 유지하는 동안, 형태적으로 가소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계통으로 분화할 수 있는 소수의 세포 군이 존재한다. 소위 줄기세포라 불리는 일컫는 이 세포군은 배아발생에서 중요하고, 좀 더 제한된 운명을 지닌 성체줄기세로 존재하다가 암 세포에서 다시 활성화되어 종양을 만들기도 한다. 형태적 가소성에 대해 잘 연구되어 있는 기작에는 정상세포 및 암세포 모두에서 발견되는 상피간엽이행(epithealial-to mesenchymal transition)이 있다. 형태적 가소성이 잘 일어나기 위해서 필요한 후성유전적, 대사적 수정은 가장 먼저 발생과정에서 관찰되고, 정상세포의 재생과정과 암 발생과정에서 재활성화 될 수 있다. 암에서 재활성화된 상피간엽이행 기작을 통해 종양세포는 암 줄기세포의 성질을 갖게 되어,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고, 치료 저항성을 지니며, 전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도록 한다. 하지만, 최근 연구결과들은 가소성이 오히려 암을 약화시키기도 하여 이를 표적으로 한 치료 개발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기도 하다.
배아 발생과정 기작과 암 발생은 신호전달쳬계, 세포생리학적 활성 면에서 상당부분 유사성을 갖고 있다. 상피간엽이행 현상에 의한 발생과정(배아발생 및 조직 재생)과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간의 포괄적 이해는, 이를 표적으로 하는 암 치료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암세포의 리프로그래밍 개념을 정리하고 있는 이 논문은 분석의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배아 발생과정 기작과 암 발생은 신호전달쳬계, 세포생리학적 활성 면에서 상당부분 유사성을 갖고 있다. 상피간엽이행 현상에 의한 발생과정(배아발생 및 조직 재생)과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간의 포괄적 이해는, 이를 표적으로 하는 암 치료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암세포의 리프로그래밍 개념을 정리하고 있는 이 논문은 분석의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