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ology of Aging and Cancer
2017-10-13
org.kosen.entty.User@3fee7b9c
신동욱(biopang)
행사&학회소개
1. Genomic instability
2. Telomere attrition
3. Epigenetic alterations
4. Loss of proteostasis
5. Deregulated nutrient sensing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6. Cellular senescence
7. Stem cells
8. Conclusion
2. Telomere attrition
3. Epigenetic alterations
4. Loss of proteostasis
5. Deregulated nutrient sensing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6. Cellular senescence
7. Stem cells
8.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노화는 생체 기관이 시간에 따라 쇠태하는 필수불가결한 과정으로서 암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다.
노화와 암 발생은 다양한 질환 기전에서 공유하거나 세분화된다. 이런 기전들은 유전체의 불안정성, 후성학적 변화, 감소된 영양분 감지 및 대사 변화, 내인성 세포성 노화, 줄기 세포 기능의 감소등을 포함한다. 본 분석물에서는 암과 노화의 신호 전달 경로에서 공유하고 있는 기전과 세분화되는 기전들에 대해서 다룸으로써 이 둘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논하기에 분석의 의의가 있다.
노화와 암 발생은 다양한 질환 기전에서 공유하거나 세분화된다. 이런 기전들은 유전체의 불안정성, 후성학적 변화, 감소된 영양분 감지 및 대사 변화, 내인성 세포성 노화, 줄기 세포 기능의 감소등을 포함한다. 본 분석물에서는 암과 노화의 신호 전달 경로에서 공유하고 있는 기전과 세분화되는 기전들에 대해서 다룸으로써 이 둘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논하기에 분석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