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Alzheimer's disease: weighing the evidence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1. Evidence of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Alzheimer’s disease
2.2. Evidence of insulin resistance as a risk factor for Alzheimer’s disease
2.3. Evidence of hyperglycaemia and type 2 diabet es as a risk factor for Alzheimer’s disease
2.4. Assessing metabolic health in obese population
2.5. Anti-diabetic medications as candidate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2.6. Insulin
2.7.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2.8.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2.9. Metformin
2.10. Thiazolidinediones
2.11. Sulfonylureas
2.12. Sodium-glucose transporter 2 inhibitors
2.13. Anti-obesity medication
3. Discussion
보고서작성신청
알쯔하이머병은 퇴행성 신경 질환중에 하나로서, 모든 치매증상의 60%~9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미국 같은 선진국에서도 사망 원인중에 6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질병이며, 특히 미국의 경우는 약 550만명 정도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기대수명의 증가와 복지혜택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알쯔하이머병의 위험성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어떠한 바이오마커도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특히 비만과 관련된 대사체 그리고 심혈관 합병증이 알쯔하이머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알쯔하이머병을 예방하기 위한 안정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비만의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이 리뷰에서는 알쯔하이머병과 비만 및 비만 관련된 합병증(인슐린 저항성, 고혈당증 및 제2형 당뇨 등)에 대한 현재의 병리적 및 임상적 증거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으며, AD를 치료하기 위한 항비만 및 항비만성 약물치료제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