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물 제출
2017-12-28
org.kosen.entty.User@5c574411
김휘영(astaria)
검토의견 반영한 분석물 제출해 드립니다.
1. 제목이 epigenetics인데, 3절의 내용을 너무 축약해놓아서 정작 epigenetics 관련 내용이 거의 없습니다.
----> 3절의 내용을 보충하였습니다.
2. Table 1의 내용이 machine learning 초보자들에게는 필요한 내용일 수 있습니다. 테이블 내용 요약하여 추가하거나 본문에 간략히 설명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Table 1을 별첨으로 추가하였습니다. (Table 1.docx)
3. 독자들을 위해 용어들에 대해 간략하게라도 부연 설명을 적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례로 이 글을 읽는 사람들 중에 TAN이라는 모델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보아야할 것입니다. 논문 본문 상에 나와있지 않더라도 최소한 Bayesian network의 한 종류라는 정도의 언급을 해주어야 합니다. (class node와는 다른 모든 node가 연결되어있다는 등의 자세한 설명까지는 안하더라도) 또한 AdaBoost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 본문중에 보충설명 추가하였습니다.
4. 표현에 어색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3.2적의 CpG 농도라는 표현은 맞지 않습니다. 아마도 CpG density를 이야기한 것 같은데, 이는 서열 상에서 CpG가 얼마나 dense 하게 나타나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농도라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 밀도라고 한다는 것을 잘못 표현하였습니다. 표현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1. 제목이 epigenetics인데, 3절의 내용을 너무 축약해놓아서 정작 epigenetics 관련 내용이 거의 없습니다.
----> 3절의 내용을 보충하였습니다.
2. Table 1의 내용이 machine learning 초보자들에게는 필요한 내용일 수 있습니다. 테이블 내용 요약하여 추가하거나 본문에 간략히 설명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Table 1을 별첨으로 추가하였습니다. (Table 1.docx)
3. 독자들을 위해 용어들에 대해 간략하게라도 부연 설명을 적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례로 이 글을 읽는 사람들 중에 TAN이라는 모델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보아야할 것입니다. 논문 본문 상에 나와있지 않더라도 최소한 Bayesian network의 한 종류라는 정도의 언급을 해주어야 합니다. (class node와는 다른 모든 node가 연결되어있다는 등의 자세한 설명까지는 안하더라도) 또한 AdaBoost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 본문중에 보충설명 추가하였습니다.
4. 표현에 어색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3.2적의 CpG 농도라는 표현은 맞지 않습니다. 아마도 CpG density를 이야기한 것 같은데, 이는 서열 상에서 CpG가 얼마나 dense 하게 나타나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농도라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 밀도라고 한다는 것을 잘못 표현하였습니다. 표현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