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Based Drug Delivery and Use of Nano-and Microcarriers for Cell Functionalization
2018-01-23
org.kosen.entty.User@4fdfe8e6
심우영(ggito0731)
분야
보건의료
개최일
2017 Nov 30
신청자
심우영(ggito0731)
개최장소
URL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Cells as Target Drug Delivery Vehicles
2.1. Erythrocyte-Based Drug Vehicles
2.2. Immune Cell-Based Drug Vehicles
2.3. Stem Cell-Based Drug Vehicles
3. Functionalization of Cells by Nano and Microcarriers
3.1. Noncovalent Coating of the Cell Membrane
3.2. Covalent Coating of the Cell Membrane
3.3. Internalization Process
3.4. Specific Antibody?Antigen Interactions
4. In Vivo and In Vitro Visualization and Detection of Single Cells and Cells Functionalized by Nano and Microcarriers
4.1. FFC and NIRF/BLI
4.2. In Vivo PAFC and PAI
4.3. MRI
5. Animal Models for Studying Cell-Assisted Drug Delivery
6. Conclusion and Future Outlook
2. Cells as Target Drug Delivery Vehicles
2.1. Erythrocyte-Based Drug Vehicles
2.2. Immune Cell-Based Drug Vehicles
2.3. Stem Cell-Based Drug Vehicles
3. Functionalization of Cells by Nano and Microcarriers
3.1. Noncovalent Coating of the Cell Membrane
3.2. Covalent Coating of the Cell Membrane
3.3. Internalization Process
3.4. Specific Antibody?Antigen Interactions
4. In Vivo and In Vitro Visualization and Detection of Single Cells and Cells Functionalized by Nano and Microcarriers
4.1. FFC and NIRF/BLI
4.2. In Vivo PAFC and PAI
4.3. MRI
5. Animal Models for Studying Cell-Assisted Drug Delivery
6. Conclusion and Future Outlook
보고서작성신청
최근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nano 및 microarrier의 개발로 인해 많은 질병의 치료에 있어 세포 치료와 약물 전달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분석물은 다양한 약물의 전달을 위한 생체 전달체 기반으로서 세포 기반 약물 전달체의 최신 정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세포 기반 약물 전달체의 설계를 위해서는 nano 및 microarrier의 세포 기능적 내재화와 함께 생체 내 세포의 시각화에 대한 접근이 함께 이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몇몇 동물 모델을 통한 "cell-assisted drug delivery"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cell-assisted drug delivery"에 의한 약물 전달의 향휴 전망에 대해 논의하는 동시에 나노 의약 분야에 "new pathways"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면역반응 및 독성으로 인한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nano 및 microarrier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세포기반 약물 전달"에 대한 최신 융합 분야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자는 분석물의 그림을 최대한 이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리며, "세포-나노 물질-시각화"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설명해 주셨으면 합니다.)
본 분석물은 다양한 약물의 전달을 위한 생체 전달체 기반으로서 세포 기반 약물 전달체의 최신 정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세포 기반 약물 전달체의 설계를 위해서는 nano 및 microarrier의 세포 기능적 내재화와 함께 생체 내 세포의 시각화에 대한 접근이 함께 이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몇몇 동물 모델을 통한 "cell-assisted drug delivery"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cell-assisted drug delivery"에 의한 약물 전달의 향휴 전망에 대해 논의하는 동시에 나노 의약 분야에 "new pathways"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면역반응 및 독성으로 인한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nano 및 microarrier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세포기반 약물 전달"에 대한 최신 융합 분야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분석자는 분석물의 그림을 최대한 이용해 주시기를 부탁드리며, "세포-나노 물질-시각화"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설명해 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