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rgeting the PI3K pathway in cancer: are we making headway?
2018-03-13
org.kosen.entty.User@787b4745
배우철(woocbae)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mTOR inhibitors
3. Pan?PI3K inhibitors
4. Dual pan?PI3K and mTOR inhibitors
5. Isoform-specific PI3K inhibitors
6. AKT inhibitors
7. Future directions
8. Conclusions
2. mTOR inhibitors
3. Pan?PI3K inhibitors
4. Dual pan?PI3K and mTOR inhibitors
5. Isoform-specific PI3K inhibitors
6. AKT inhibitors
7. Future directions
8. Conclusions
보고서작성신청
PI3K?AKT?mTOR 경로는 암에서 가장 흔히 조절되지 못하는 경로 중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해당 경로의 주요 요소들을 표적으로 삼는 40종 이상의 물질들이 여러 다양한 형태의 암 환자들을 위한 임상 시험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들 물질들에 대한 임상 시험에서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최종 무작위 임상 시험 단계까지 진행된 사례가 많지 않다. 또한 전향적 비교 임상 시험에서 이들 물질들의 항암 효과가 제한적이거나 독성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mTOR 저해제인 temsirolimus와 everolimus 및 PI3K 저해제인 idelalisib과 copanlisib이 여러 암에 대한 치료제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뛰어난 활성과 선택성을 갖거나 독성 위험을 줄인 새로운 물질에 대한 요구가 크다고 한다. 더하여 PI3K 촉매 아단위 알파 이성체의 저해제에 대한 PIK3CA 돌연변이와 같은 반응 예측을 확인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들이 동정, 분석 및 임상 검증을 받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PI3K?AKT?mTOR 경로가 다른 종양 촉진성 비정상 신호전달 네트워크와 함께 활성화되어서 암을 유발시키는 것을 고려하여 치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합리적인 약물 병용 설계도 요구되고 있다. 이번 리뷰에서는 PI3K?AKT?mTOR 경로를 표적으로 삼는 항암제에 대한 기존 경험과 앞으로의 지향점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