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ransition Type in Multi-View 360 Media
2018-03-20
org.kosen.entty.User@28cc5d52
방준성(hjbang21pp)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RELATED WORK
2.1 360 Media
2.2 Locomotion and Spatial Awareness
2.3 Transitions
2.4 Simulator Sickness
3 EXPERIMENTAL DESIGN
3.1 Stimuli
3.2 Transition Types
3.3 Hypotheses
3.4 Experimental Setup
3.5 Participants
3.6 Experimental Procedure
4 RESULTS
4.1 Spatial Awareness
4.2 Subjective Measures
4.3 Preference
4.4 Movement Profile
4.5 SSQ
5 DISCUSSION
5.1 Spatial Awareness
5.2 Subjective Ratings
5.3 Movement Profile
6 LIMITATIONS AND FUTURE WORK
7 CONCLUSION
2 RELATED WORK
2.1 360 Media
2.2 Locomotion and Spatial Awareness
2.3 Transitions
2.4 Simulator Sickness
3 EXPERIMENTAL DESIGN
3.1 Stimuli
3.2 Transition Types
3.3 Hypotheses
3.4 Experimental Setup
3.5 Participants
3.6 Experimental Procedure
4 RESULTS
4.1 Spatial Awareness
4.2 Subjective Measures
4.3 Preference
4.4 Movement Profile
4.5 SSQ
5 DISCUSSION
5.1 Spatial Awareness
5.2 Subjective Ratings
5.3 Movement Profile
6 LIMITATIONS AND FUTURE WORK
7 CONCLUSION
보고서작성신청
실감형 콘텐츠 제공을 위해 360 이미지나 비디오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초기의 단일 카메라 시점에서의 360 영상은 복수 카메라 위치에서의 콘텐츠로 점점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한 다중 시점 360 미디어(Multi-View 360 Media) 시스템에서, 하나의 카메라 위치에서 다른 카메라 위치로 전이할 때 실제적인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한 시각적 효과는 몇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 효과의 선택은 콘텐츠와 장면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추천 논문에서는 HMD를 착용한 시험 참가자가 텔레포트(teleport), 선형 이동(linear move), 이미지-기반 전이의 시각적 이동 효과에 따라 공간적 자각, 전이 선호도, 공간 이동시 느낌 등이 어떤지를 실험적으로 조사했다. 실험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고려 요소를 제시하여 본 논문은 360 영상을 이용한 콘텐츠 개발에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