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Nonfullerene Acceptor Molecules for Bulk Heterojunction Organic Solar Cells

행사&학회소개
1. Introduction
2. Brief Introduction to OPV Working Principle
3. Molecular Design Principle
4. Rylene Diimide-Based NFAS
5. A-D-A Type Acceptors
6. Other NFAS
7. Comparison among Different Core Units
8. Nonfullerene All Small Molecule OPV
9. Ternary Blend Nonfullerene OPV
10. Enhanced Device Stability of Nonfullerene OPV
11. Reducing Voltage Loss
12. Challenges and Perspectives
13. Concluding Remarks
보고서작성신청
유기태양전지 분야는 인쇄전자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저가의 신재생에너지원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오랫동안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그동안 고가의 플러렌계 물질이 전자 받개 물질로 대표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이를 대체하는 비플러렌계 n형 유기반도체 단분자나 올리고머의 개발이 중요한 연구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플러렌 대비 더 넓은 영역대의 태양광 흡수, 분자 설계의 자유도, 다양한 에너지 밴드갭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에너지 변환 효율이 2002년 2% 수준에서 최근에는 13% 이상 수준까지 가파르게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비플러렌계 유기반도체 물질들의 특성을 리뷰하고 에너지밴드갭 엔지니어링을 적절하게 매칭한다면 최적의 유기태양전지 광변환효율을 달성하고 상용화의 길에 조금더 다가설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