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토소견 2차
2018-05-16
org.kosen.entty.User@6e5dd53
이승준(fovero)
내용을 잘 정리하고 또 수정해 주셨습니다만,
검토하면서 내용 전달이 안되는 부분을 원문과 비교해 보면, 부분적 오역과 용어 선택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리고, 요청드린 그림 1의 삽입과, 참고문헌 표시, 간략한 그림 설명은 반드시 해 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특히 그림 1B는 암의 진행과 CSC, EMT, 전이, 항암제 내성과 연관된 Wnt 신호 간 상호관계를 표현한 그림이라 원문의 핵심내용 전달에 필요한 부분이라 판단됩니다.
부분적 오역, 오탈자, 부정확한 용어 등은 노란색으로 표시해 두었고, 직접 수정한 부분도 있으니, 원문을 참고하시어 한번 더 수정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참고하실 부분입니다.
1. 7 transmembrane receptor, 7 막관통수용체 또는 7 막투과수용체
2. translational medicine, 중개의학 또는 임상중개의학
3. 유전자의 대소문자 표기에 유의
Wnt에 관한 연구가 모델동물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결과들이 많아 상동 유전자 및 단백질 표기를 Wnt 형식으로 표기하였지만, 인체 연구 및 임상연구에서 확인된 부분은 WNT 로 대문자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점에 유념하여 원문을 그대로 활용하여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4. 헤테로다이머, heterodimer, 이종이중체 등의 용어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이종이중체(heterodimer)로 통일해서 사용함이 어떠실까요?
5. EMT에 대한 공식 용어는 상피간엽이행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피간엽이행(EMT) 표기 후, 상피간엽이행으로 통일하여 사용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검토 소견에 대해 의견 있으시면 논의하고 완성도를 높여가는 게 좋을 듯 합니다.
검토하면서 내용 전달이 안되는 부분을 원문과 비교해 보면, 부분적 오역과 용어 선택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그리고, 요청드린 그림 1의 삽입과, 참고문헌 표시, 간략한 그림 설명은 반드시 해 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특히 그림 1B는 암의 진행과 CSC, EMT, 전이, 항암제 내성과 연관된 Wnt 신호 간 상호관계를 표현한 그림이라 원문의 핵심내용 전달에 필요한 부분이라 판단됩니다.
부분적 오역, 오탈자, 부정확한 용어 등은 노란색으로 표시해 두었고, 직접 수정한 부분도 있으니, 원문을 참고하시어 한번 더 수정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참고하실 부분입니다.
1. 7 transmembrane receptor, 7 막관통수용체 또는 7 막투과수용체
2. translational medicine, 중개의학 또는 임상중개의학
3. 유전자의 대소문자 표기에 유의
Wnt에 관한 연구가 모델동물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결과들이 많아 상동 유전자 및 단백질 표기를 Wnt 형식으로 표기하였지만, 인체 연구 및 임상연구에서 확인된 부분은 WNT 로 대문자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점에 유념하여 원문을 그대로 활용하여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4. 헤테로다이머, heterodimer, 이종이중체 등의 용어가 혼재되어 있습니다. 이종이중체(heterodimer)로 통일해서 사용함이 어떠실까요?
5. EMT에 대한 공식 용어는 상피간엽이행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피간엽이행(EMT) 표기 후, 상피간엽이행으로 통일하여 사용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검토 소견에 대해 의견 있으시면 논의하고 완성도를 높여가는 게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