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플랫폼 기술동향
2018-11-20
org.kosen.entty.User@635cb000
국경완(kugstone)
스마트시티는 기존 u-city와 유사하지만 연결성(Connectivity)을 바탕으로 교통, 환경, 에너지, 수자원 등 각종 도시 기반시설에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등 첨단 정보통신 기술이 접목된 차세대 도시를 말하며, 이러한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하여 도시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시민에게 안전하고 윤택한 삶을 제공한다. 또한, 도로, 항만, 수도, 전기, 학교 등 도시의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공 데이터를 수집·활용하여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스마트시티 중 아시아 비중은 ’16년 28.6%, ’25년 33.9%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4년 스마트시티 산업 규모는 3.6조원으로 추정되며, ’17년 4.64조원, ’20년 150조원의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우리 정부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선점을 위한 산업 육성과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어 국내 시장도 폭발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시점에서 스마트 시티 플랫폼 기술동향과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한다.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 스마트시티 중 아시아 비중은 ’16년 28.6%, ’25년 33.9%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4년 스마트시티 산업 규모는 3.6조원으로 추정되며, ’17년 4.64조원, ’20년 150조원의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우리 정부도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선점을 위한 산업 육성과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어 국내 시장도 폭발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시점에서 스마트 시티 플랫폼 기술동향과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