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플라스틱 대체소재 기술개발 동향
2018-11-20
org.kosen.entty.User@2927e2e0
전영인(yijhon)
플라스틱 소재는 다양하면서도 우수한 기능 및 저렴한 가격으로 현대의 풍요로운 인류 생활과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해 왔다. 하지만, 매립에 따른 환경호르몬 침출, 중간분해 단계에서 생성되는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 대량으로 플라스틱 폐기물 폐기물의 소각에 따른, 맹독성의 다이옥신(dioxine),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같은 대기오염 물질, CO2 같은 온실가스 의 배출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모두, 잘 썩지 않고 반영구적이라는 플라스틱 개발 초기의 장점이, 환경오염이라는 부메랑이 되어 우리에게 되돌아 오고 있는 데에 기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각국은 여러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독일, 이탈리아, 미국 등 선진 각국은, 쇼핑백, 플라스틱 병에 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 친환경 플라스틱의 광범위한 실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종 분해까지 300-500년 정도 걸리는, 기존의 난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부과되는 폐기물 부담금을 인상하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어서,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으로의 사용을 유도하고 있다. 폐기물 부담금 인상 등의 이러한 환경 규제는 플라스틱 산업의 성장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인체에 무해하고, 재활용이 용이하면서도, 가격경쟁력과 기존 플라스틱의 이로운 물성을 유지하는 원료 및 제품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생체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은 연평균 8.3%씩 성장하여 2020년에 세계 시장은 3.4억 달러, 국내 시장은 188억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며, 세계 시장 중 아시아 특히 인도와 중국 시장의 비약적 성장이 전망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본고서에서는, 환경친화적인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하는 플라스틱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같은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대체소재에 대한 정의, 종류, 특성, 응용분야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