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위치 항법 시스템 종류와 분석
2020-02-25
org.kosen.entty.User@20b537db
유재현(yjh5455)
위치는 항공기, 자동차, 기차 등 모든 자동화 제어 시스템의 상태를 알려주는 가장 기본적인정보이다.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만 주어진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경로를 계획하고 다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야외에서 구동되는 자동 제어 시스템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곤 대부분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의존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GNSS의 작동원리는 지구 바깥 궤도에 공전하는 여러 개의 위성을 통해 위성과의 거리와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하지만 건물 안, 장애물 밀집지역, 터널 안 등의 실내 공간에서는 GNS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수신이 간혹 이루어지더라도 GNSS의 성능을 나타내는 정확도,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GNSS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는 실내위치인식 기술 종류를 분류하고 장단점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에 기계학습 기법이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에 적용되어 정확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실내위치측위 및 항법 시스템은 현대 사람의 실내 활동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스마트시티가 대표적인 예이다. 더불어 업무, 엔터테이먼트, 쇼핑, 스포츠 등과 같이 실내 공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야외에 집중이 돼있던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비스가 현재 점차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구글을 비롯한 여러 기업과 연구소, 학계에서 시제품을 개발하고 상용화하여 실내위치인식의 높은 정확성을 검증하고 있다.
매년 열리는 IPIN(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 국제학회에서는 실내위치측위 관련 연구만 모아 발표하며, IPSN(International Processing in Sensor Networks), IEEE Sensors 등 국제학회에서도 실내항법 연구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하지만 건물 안, 장애물 밀집지역, 터널 안 등의 실내 공간에서는 GNS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수신이 간혹 이루어지더라도 GNSS의 성능을 나타내는 정확도,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GNSS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는 실내위치인식 기술 종류를 분류하고 장단점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에 기계학습 기법이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에 적용되어 정확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실내위치측위 및 항법 시스템은 현대 사람의 실내 활동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스마트시티가 대표적인 예이다. 더불어 업무, 엔터테이먼트, 쇼핑, 스포츠 등과 같이 실내 공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야외에 집중이 돼있던 네비게이션 시스템 서비스가 현재 점차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구글을 비롯한 여러 기업과 연구소, 학계에서 시제품을 개발하고 상용화하여 실내위치인식의 높은 정확성을 검증하고 있다.
매년 열리는 IPIN(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oor Positioning and Indoor Navigation) 국제학회에서는 실내위치측위 관련 연구만 모아 발표하며, IPSN(International Processing in Sensor Networks), IEEE Sensors 등 국제학회에서도 실내항법 연구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