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개인 보급형 의료 기기에 대한 개발 동향과 시장성 자료

의료 환경과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소비는 시대가 바뀌면서 그 패턴도 달라짐을 보인다.  과거의 의료 환경에 대한 요구는 거대 병원을 중심으로 대형 의료 기계의 설치 여부가 많은 관심사가 되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스마트와치등을 비롯한 개인의 건강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이 증가하면서 의료 환경과 치료에 대한 패러다임 역시 질병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여기에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비대면 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평상시의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찰과 질병의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코로나 이후의 헬스 케어 산업의 변화와 시장 환경의 다각화를 빠르게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t, AI)과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이 큰 기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진단 및 치료 나아가 재활 영역에서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 기반 독립형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는 정보통신장비 또는 기존 의료기기에서 얻어진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기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진단 및 예측 시간이 인간보다 짧기 때문에 인간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단 및 치료와 예방 등의 판단이 가능하며 의료진은 비정상군만 보고 진단할 수 있게 하여 의료 전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령화와 더불어 노인 인구의 증가 및 산업화의 영향으로 급성질병 보다 만성질병 중심으로 의료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빅데이터 분석과 최신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관리하는 방법으로 바뀌어 지고 있다. 

코로나 이전의 시대는 공유 경제의 시대라고 할 수 있었다 자동차 쉐어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었던 우버 (Uber)를 비롯하여 자전거, 의류 등 공유를 통항경제 관념이 자리 잡기 시작했으나 코로나 이후의 시대는 의료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여 비대면 개별 환자 중심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의 헬스케어 서비스 추세는 4P 주도형으로 개인화 (Personalized), 예측(Predictive), 예방(Preventive), 참여(Participation)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의료 서비스가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하여 지역적 한계를 드러낸 것에 반해 빅테이터와 최신 기술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대상자를 관리,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는 이미 2018년에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대표적인 의료기기로 치과용 임플란튼, 인체 이식형 전자의료 기기, 롯봇 수술기, 3D 프린팅 의료기기, 의료용 레이저 및 전기 수술기등을 제시하였다.  더우기 2019년에는 앞서 언급한 4P 중심의 기능융합형 의료기기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 (wearable device), 수술용 네비게이션 의료기기, 체외진단기기등의 분야에서 큰 전환전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코로나 이후 공공장소에서의 질병 노출에 대한 우려로 비대면 접촉을 통한 스마트헬스 케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의료진과 환자를 동시에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 보급형 의료기기를 통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이는 환자의 의료 편의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의 사회적 의료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발 동향과 활용 방안들에 대한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