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항암 백신의 최신 연구동향

항암백신의 최근 연구동향

이재현, jaelee122@hanamail.net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Keywords

   영문 키워드; Immune response, T-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Anti-genes, Adjuvant.

   한글키원드; 면역반응, T-세포, 항원제시세포, 항원, 보조제

 

1. 서론

  백신의 목적은 생체내에서 일정의 항체 혹은 항체세트에 대항하여 이에 적응할 수 있는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특정기능의 전문적인 항체제시 세포들을 활용하여 T 보조세포들의 반응을 작동시켜 항체를 생산하고 세포독성 효과 T-세포들을 유도하는 것이다. 암의 면역치료는 종양학에서 가장 기대되는 분야중의 하나이다(1). 면역치료는 종양세포들의 면역 시스템 인식을 향상하여 질병조절 내지는 생명을 연장한다. 이중 암백신은 숙원인 항암치료 및 면역 예방치료의 하나로서 항체-특정 T-세포 반응 획득 및 장기적 임상적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볼 때 대부분의 암백신의 임상시험은 다수의 조제가 기대되는 면역발생 기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실망적 결과를 보였다. 최근 지난 10년간 백신의 전달 플랫폼, 면역발생 양상의 도구들 그리고 항체/에피토프 선택성이 크게 발전하여 결과적으로 암백신은 종양 특정적이고, 초기 임상단계에서 뚜렷한 임상효과가 관찰되고 있다.

암의 면역치료에는 세포치료들, 항체들, 시트카인들, 종양분해 바이러스들, 및 암백신들이 있다(2), (3). 역사적으로, 초기 암면역치료는 임상적용을 방해하는 불리한 독성양상에 관련된 전신 사이토카인을 탐구하였다(4). 그러나, 수년간 분자생물학, 유전학, 및 암 면역학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표적들과 치료방법이 향상되었다(5). 주목할 만한 예는 CAR-T세포 치료제 와 면역관문 차단이다. 두 방법은 여러 악성종양(6)에 임상적 혜택이 있어 규제기관의 허가를 획득하고, 2018년 의학 노벨상을 수상한 직접적인 과제 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7타입의 면역관문 저해제, 2개의 양자면역요법 그리고 4개의 암백신이 미국 FDA에서 허가되었다(7a-g).

 

2. 암백신의 작용기전

기존의 백신들처럼 암백신도 면역-인식 과정을 자극한다. 그러나 기존 백신에서 바이러스 항체가 면역인식 과정을 시작하는 반면 암백신에서는 환자-유래 암세포들이 항체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8) 항원전달제시세포(APC; Antigen-presenting cells)가 암백신에 노출된 후 암세포들에 면역인식과정을 시작한다. 항원을 받은 후 APC는 조직-적합성 콤플렉스 (histocom-patibility complexes, MHCs)와 함께 이를 T-세포에 전달한다(9). 이것이 MHC 콤플렉스와 T-세포 수용체 간의 신경접합부를 생성하기 위하여 3가지 중요 경로를 유발한 다음 T-세포 CD28의 APCs 위에 동시-자극인자들 (CD80 및 CD86)을 부착한다(10). 백신이 전달된 항체들은 암세포들을 죽이기 위하여 CD8+ 세포들을 활성화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용들이 암세포들에 대항하여 원하는 세포독성 면역반응을 얻는 것을 돕는다(11).  

 

3. 생물학적 및 임상에서의 문제점들

  암백신의 플랫폼은 보통 4개 타입으로 분류한다. 즉, 아래 그림 1 (12)과 같은 바이러스/박테리아, 유전자, 펩타이드 및 세포기반 플랫폼이다. 지금 까지의 암백신 임상시험은 기존의 면역발생학 및 생산공정의 발전에 힘입어 세포, 바이러스, 혹은 펩타이드-기반 플랫폼을 이용하였다 2014년까지 451개의 암백신 임상시험들이 수행되었으며, 이 중 유전자-기반 조제들은 <5%에 달했다(13). 놀랍게도, 임상 III : II 단계비율은 1:21로 약제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나타낸다. 더구나 대부분의 임상 III 시험들은 효능면에서 실패하였다.

예를 들면 MAGHE-A3, Adjuvant Non-Small Cell LunG CanceR ImmonoTherapy 시험은 환자의 생존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TeloVac-시험 또한 췌장암의 국지 발전/진행된 환자의 표준진료 화학치료에 비해 생존개선에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결과들은 아마도 비합리적 백신방법, 비이상적 항체선택, 혹은 알려지지 않은 방법들을 조합한 시험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4. 표적항체들의 최적화

잘 정의된 항원결정기에 대한 적응면역은 장기간 질병을 보호하는 바이러스 혹은 박테리아 균들과는 달리 암의 항체조건들이 많이 복잡하다. 암백신에서는 기피 종들의 선택을 피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폭 넓게 항체들을 표적화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를 위하여, 자가조직 종양 용해물, 모든 종양-유래 mRNA, 조사된 자가조직 종양세포들의 사용이 필요하다(14). 이 모든 것이 물류, 표준화 및 GMP와 같은 규제에 응해야 하는 문제들이 있다. 최근에는 하나 혹은 제한된 암항체 세트를 표적화 하는 백신을 만드는데 전년하고 있다. 이들은 파생된 항체들 (즉 MelanA, gp100,





그림1. 암치료를 위한 4개의 주 백신조제들(12). 이 그림에서는 서로 다른 방법들이 표시되어 있다. 즉, APC, 항원표출세포; DC. 수지상세포; HSV-1, 단순헤르피스 바이러스 1; IFN-g, 인터페론-g, IL-2, Interleukin-2; mRNA,; TNF, 단순헤르프피스 바이러스; T-VEC, talimogene laherparevec 등이다.

 

tyrosinase, 고환암 항체들 (즉, MAGE/LAGE/XAGE family, NY_ESO1) 혹은 바이러스 유래 항체들 (즉, HPV 혹은 EBV-유래 단배직들)일 수 있다(15) 

 

5. 암백신 보조제의 최적화

  보조제들의 이점은 디프테리아 백신(16)의 발명자 Gaston Ramon에 의하여 잘 정의되었다. “특정 항체와 함께 사용되는 물질로 항체 단일보다 더 많은 면역을 생성하는 물질들” 이다. 암 항체에 대항하여 임상에 관련된 면역반응들을 일으키는 보조 조제들을 발견하는 것은 큰 도전이 되어왔다. 이유는 암항체들은 자가-항체와 부분적 동체이기 때문에 때때로 암 항체들은 빈약한 면역 발생력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최적화된 암백신 보조제들은 타입 2-극성화된 혹은 체액반응 보다 타입 1-극성화된 세포 중재 된 면역촉진에 성공하여야 한다.  

  보조제들은 두개의 주 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내재 면역 수용체들을 유발하는 면역자극 분자들, (2) 항체 저장소 혹은 전달시스템으로 작용하는 입자성 보조제들이다. 암 백신 보조제들은 주로 병균 관련된 분자양상을 모사하는 분자들로 구성되고 B-세포들, 거식 및 수지상세포들을 포함하는 항원제시세포들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들에 Toll-유사 수용체들 (TLRs)에 관여한다.

 

5.1. 면역자극 보조제

  면역자극 보조제들 중 TLR4 리간드들이 APC 활성화에 가장 강력한 멤버중의 하나다, TLR4 리간드의 Lipopolysaccharide (LPS)는 TLR4 리간드의 프로토타입으로 독성 때문에 임상 조제들에 사용할 수 없다. MPL (3-O-desacyl-4’-monophoshoryl lipid A)는 Salmonella minnesota의 R595 종으로부터 유도되고, 화학적으로 제독 된 LPS로서 면역자극 특성이 남아있다 (17). 이는 인간 백신의 일부로 허가된 TLR 리간드이며 시판되는 HPV(human papillomavirus vaccine) 및 HBV(hepatitis B virus vaccine) 대신에 사용되는 AS04 보조조제의 주요 성분이다. 그러나 MPL이 특별히 항암백신에 특히 매력적인 것은 Th1-극성 및 세포-매개된 면역을 갈역히 유도하는 능력이다. MPL은 세포벽 Mycobacteria peptidoglycansd와 배합하면 DETOX 보조제 시스템의 성분이다(18). DETOX는 두개의 동종이계의 흑색종 세포게열 용출물을 도입한 MelacineR vaccine 보조제에 사용하며 던개된 단계 III 흑색종 환자에 보통의 임상혜택이 있다(19).

5.2. 입자성 물질 보조제

역사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 입자성 물질 보조제는 알루미늄염, 대부분 수산화 알루미늄염 (“alum”) 이다. Alum은 내재된 면역반응을 TLR에 의존하지 않고 유발하는 반면 ㅜALP3를 자극한다. 순수한 T-helper 2(Th2)와 항체 반응을 강력히 유도하면서도 alum 염들 자신들은 암백신에 사용하는 데는 맞지 않다. 그러나 Isa 51과 재조합 IL-12A과 같은 타입-1 극성 성분과 합치면 alum은 종양-관련 항체들에 더 지속적인 반응을 보인다. 이는 저장/서방 효과 때문이다(20). 같은 방식으로 MPL (GSK’s AS04 보조제 조제)와 합치면 더 지속직인 타입-1시토카인 반응을 보인다. 타 입자성 보조제들은 암백신에 더 잘 반응하게 만들어졌다(21). 가장 오래된 프로토타입 Freunds 보조제는 유수 에멀젼으로 가열에 의해 사멸된 Mcycobacteria로 전임사에서 대단히 면역발생력이 있었으나 인간에게는 독성이 너무 강하였다.

 

6. 암백신 조제의 최적화

전임상 합리성에 의하여 설계된 백신들의 임상결과는 예외였다. 예를 비소세포폐암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백신이 단일 치료 로서는 임상혜택이 빈약한 것이 그 좋은 예이다. 상기한 여러 방법들이 폐암에 시험되었다. 즉, 단백질, 리포솜, VLP-기반 혹은 유전자 조작된 전체 세포 백신 플랫폼 등이다. 가장 큰 규모의 NSCLC 임상시험에 GSK 생물의학품 제제인 재조함 MAGE-A3 백신이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조절된 3상 임상이 수행되었다 제제는 전체길이의 재조합 MEGEA3 단백질, 40%의 NSCLC 환자에서 발현된 고환 암 항체와 AS15 보조제제를 포함하였다. MAGEA3의 암-특정 성에도 불구하고, AS15DML 강한 타입-1 극성 제제임에도 불고하고 그리고 임상 II의 종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임상 III의 데이터는 초기 NSCLC 환자에서 외과절제 후 백신에 전체적인 무-질병 성과가 없었다(22).

 

7. 면역 시스템에 종양노출

  백신-유도된 T-세포들이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 종양내 침투 및 억압 기전 외에 종양세포들은 표면에 충분한 레벨의 관련 항체들을 노출하여야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 면역시스템에 노출 결여는 후생적 기전, 즉, DNA 과잉 메틸화 및 히스톤 탈아세틸화에 의하여 매개된다. 따라서 치료조절의 기회가 된다(23). 암-고환 항원들은 특이 후생적 기전들에 의하여 조절된다. DNA 메틸전환효소 (DNA methy transferase, DNMT) 억제제로 치료하면 암세포들에 암-고환 항원의 발현 레벨을 증가시킨다. TAP-1, TAP-2, LMP-2 및 tapashin과 같은 항원-처리 기구 (antigen-processing machinery, APM)들은 암세포들을 히스톤 탈아세틸 효소 저해제로 처리하면 증가한다. 이는 이어서 MHC 중 I 분자들의 표면 발현을 증가시킨다(24)

 

7. 결언

 종양관련 면역억제 네트워크들의 복잡성 때문에 치료면에서 백신이 지금까지 환자들에게 거의 혜택이 없었다. 그러나 많은 량의 전임상 데이터들은 백신이 종양들을 조절하고 박멸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세포 매개된 암세포의 파괴에 장애들이 보여주는 것은 우리들이 백신이 개인 환자를 위한 면역억제 경로지도를 정확히 그릴 수 있나 에 달렸다. 이 경로 치료조절의 중요한면은 효과적인 면역반응에 장애체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려운 도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백신이 개발, 허용되고 장기 방어의 면역기억에 대한 기대는 질병조절을 치유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References

1. Couzin-Frankel J. Breakthrough of the year 2013. Cancer immunotherapy. Science. 2013;

342(6165):1432-1433.

2. Chen DS, Mellman I. Oncology meets immunology: the cancer immunity cycle. Immunity. 2013;39(1):1-10.

3. Zhang Y, Zhang Z. The history and advances in cancer immunotherap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umor-infiltrating immune cells and their therapeutic implications. Cell Mol Immunol. 2020;17(8):807-821.

4. Berraondo P, Sanmamed MF, Ochoa MC, et al. Cytokines in clinical cancer immunotherapy. Br J Cancer. 2019;120(1):6-15.

5. Marshall HT, Djamgoz MBA. Immuno-oncology: emerging targets and combination therapies. Front Oncol. 2018;8:315.

6. First-Ever CAR T-cell Therapy Approved in U.S. Cancer Discovery [Internet]. Available at https://cancerdiscovery.aacrjournals.org/content/7/10/OF1. Accessed April 27, 2021

7. a. Hargadon KM, Johnoson CE, Williams CJ. Immune checkpoint blockade therapy for cancer: an overview of FDA-approved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nt immunopharmacol 2018;62:29-39.

b. O'Leary MC, Lu X, Huang Y, Lin X, Mahmood I, Przepiorka D, et al. FDA approval summary: tisagenlecleucel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lapsed or refractory B-cell precursor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lin Cancer Res 2019;25:1142-46.

c. Bouchkouj N, Kasamon YL, de Claro RA, George B, Lin X, Lee S, et al. FDA approval summary: axicabtagene ciloleucel for relapsed or refractory large B-cell lymphoma. Clin Cancer Res 2019; 25:1702-08.

d. Cheever MA, Hignao CS. PROVENGE (Sipuleucel-T) in prostate cancer: the first FDA-approved therapeutic cancer vaccine. Clin Cancer Res 2011;17:3520-6.

e. FDA licensure of quadrivalent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HPV4, Gardasil) for use in males and guidance from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Morb Mortal Rep 2010;59:630-2.

f. Kirby T. FDA approves new upgraded Gardasil 9. Lancet Oncol 2015;16:e56.

g. FDA licensure of bivalent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HPV2, Cervarix) for use in females and updated HPV vaccination recommendations from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Morb Mortal Rep 2010;59:626-9.

8. Pardoll, D. (2015) Cancer and the immune system: basic concepts and targets for intervention. Semin. Oncol. 42, 523–538.

9. Vermaelen, K. (2019) Vaccine strategies to improve anti-cancer cellular immune responses. Front. Immunol. 10, 8

10. Cebon, J. (2018) Perspective: Cancer vaccines in the era of immune checkpoint blockade Mamm.  Genome 29, 703–713

11. Hollingsworth, R.E. and Jansen, K. (2019) Turning the corner on therapeutic cancer vaccines. NPJ Vaccines 4, 7

12. Hu Z, Ott PA, Wu CJ. Towards personalized, tumour-specific, therapeutic vaccines for cancer. Nat Rev Immunol. 2018;18(3):168-182. http://doi.org/10.1016/j.annonc.2021.08.2153

13. Vansteenkiste JF, Cho BC, Vanakesa T, et al. Efficacy of the MAGE-A3 cancer immunotherapeutic as adjuvant therapy in patients with resected MAGE-A3-positive non-small-cell lung cancer (MAGRIT):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Lancet Oncol. 2016;17(6): 822-835

14. Chiang CL-L, CoukosG, Kandalaft LE.Whole tumor antigen vaccines: where are we? Vaccines (2015) 3:344–72. doi: 10.3390/vaccines3020344

15. Melief CJM, van Hall T, Arens R, Ossendorp F, van der Burg SH. Therapeutic cancer vaccines. J Clin Invest. (2015) 125:3401–12. doi: 10.1172/JCI80009

16. Rogers FB, Maloney RJ. Gaston ramon, 1886–1963. Arch Environ Health (1963) 7:723–5.

17. Qureshi N, Takayama K, Ribi E. Purific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nontoxic lipid A obtained from the lipopolysaccharide of Salmonella typhimurium. J Biol Chem. (1982) 257:11808–15.

18. Tefit JN, Serra V. Outlining novel cellular adjuvant products for therapeutic vaccines against cancer. Expert Rev Vaccines (2011) 10:1207–20. doi: 10.1586/erv.11.84

19. Thompson BS, Chilton PM, Ward JR, Evans JT, Mitchell TC. The lowtoxicity versions of LPS, MPL adjuvant and RC529, are efficient adjuvants for CD4+ T cells. J Leukoc Biol. (2005) 78:1273–80. doi: 10.1189/jlb.0305172.

20. Hamid O, Solomon JC, Scotland R, Garcia M, Sian S, Ye W, et al. Alum with interleukin-12 augments immunity to a melanoma peptide vaccine: correlation with time to relapse in patients with resected high-risk disease. Clin Cancer Res. (2007) 13:215–22. doi: 10.1158/1078-0432.CCR-06-1450

21. Temizoz B, Kuroda E, Ishii KJ. Vaccine adjuvants as potential cancer immunotherapeutics. Int Immunol. (2016) 28:329–38. doi: 10.1093/intimm/dxw015

22. Vansteenkiste JF, Cho B-C, Vanakesa T, De Pas T, ZielinskiM, KimMS, et al. Efficacy of the MAGE-A3 cancer immunotherapeutic as adjuvant therapy in patients with resected MAGE-A3-positive non-small-cell lung cancer (MAGRIT):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3 trial. Lancet Oncol. (2016) 17:822–35. doi: 10.1016/S1470-2045(16)00099-1

23. Chiappinelli KB, Zahnow CA, Ahuja N, Baylin SB. Combining epigenetic and immunotherapy to combat cancer. Cancer Res. (2016) 76:1683–9. doi: 10.1158/0008-5472.CAN-15-2125

24. Khan ANH, Gregorie CJ, Tomasi TB.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induce TAP, LMP, Tapasin genes and MHC class I antigen presentation by melanoma cells. Cancer Immunol Immunother. (2008) 57:647–54. doi: 10.1007/s00262-007-04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