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개요
1) 사업의 목적
21세기 국가경제의 근간이 되는 주력 제조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일류화를 위한 부품·소재산업에 있어서, 경쟁력
있는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심화를 목표로 실용화를 통한 미래산업을 선도할 소재성형기술의 연구개발.
2) 사업 추진배경
▷ 국내 소재성형 기술의 수준은 선진국과 많은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핵심부품의 대외 무역 적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환경친화적, 에너지 효율화, 다기능화, 복합화 등 시대적 요청에 부합하는 소재ㆍ부품 연구에 대한 방향 제시가
요구됨.
▷ 소재성형기술은 기술개발 및 시장 주기가 길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요구함.
▷ 장점기술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세계 일류수준의 소재성형기술 확보 요망.
▷ 국내외 연구 infra를 총체적으로 활용하여 기술선진국에 진입하기 위한 포괄적인 소재ㆍ부품 분야의 연구가
필요함.
3) 사업 기간 및 단계별 추진 전략
1단계 (2001. 07
∼ 2004. 06) |
○ 기존 공정의
고부가가치화 - Cost effective한 소재성형 기술을 중심으로 한 core technology
개발 |
2단계 (2004. 07
∼ 2007. 03) |
○ 독자기술 확보 및
선진화 - 세계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는 global competitive technology
개발 |
3단계 (2007. 04
∼ 2011. 03) |
○ 독자적인 신공정 기술
창출 - 세계 일류수준의 global leading technology 개발 |
2.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1) 연구목표
세계 일류
부품ㆍ소재 신공정 기술 20건 이상 개발 및 실용화로 경제효과 20억원 이상 달성 |
▷ 생산 공정 단축, 에너지 효율화 및 부품의 특성 향상
▷ 고정밀, 다기능화를 위한 혁신 소재성형기술 개발
▷ 소재성형기술의 원천기술 확보, 지속적인 심화 및 실용화
2) 연구내용
중분류 분
야 |
연 구 내
용 |
적층형
세라믹 전자부품 |
○ 수동소자 복합 LTCC 소재공정기술
및 적층복합 모듈 제조기술 개발 ○ 적층기술을 이용한 고성능 MLCA 제조기술개발 |
분말성형 정밀부품 |
○ 입자제어 기술을 이용한 초강도 부품
개발 ○ 합금설계 기술을 이용한 경량 소결 부품 개발 ○ 기공제어 기술을 이용한 다공질 부품
개발 |
다기능 고분자
복합재 |
○ 분산제어에 의한 다기능성 고분자
복합재 개발 ○ 액상 성형에 의한 지능형 복합재 대형 구조물 개발 ○ 복합재료용 광ㆍ열경화 수지 시스
개발 |
기능성 정밀 금속
판재 |
○ 연속 판재제조기술
개발(광폭화/조직제어, 연속장치) ○ 적층 판재 제조기술개발(고상/고상, 고상/액상 적층) ○ 박판 제조기술개발(광폭/극박,
정밀제어압연) |
부품일체화 성형 |
○ 일체성형용 원재료 개발(복잡형상
레이저 튜브) ○ 일체화성형 부품 개발 ○ 부품 모듈화 기술 |
3. 과제 분류
분
류 |
추 진 방
향 |
연구비 규모
(정부지원) |
중 점과
제 |
o RFP 공고 o 5개
중분류 기술분야의 중점기술의 원천기술 심화 및 실용화 개발 연구 o 과제 성격에 따라 기업참여 (총 연구비의 50∼80% 정부
지원) o 요소기술은 확립되었고 관련시장이 형성된 분야의 과제 또는 1단계 추진결과 2단계 조기 실용화를 목표로 하는
과제 |
55억원 |
핵 심과
제 |
o RFP 공고 o 5개
중분류 기술분야의 원천기술 확보 및 실용화 가능성 검증 개발 연구 o 과제 성격에 따라 기업참여 (총 연구비의 50∼80% 정부
지원) o 2단계 또는 3단계에서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는 기술 개발과제 o 2단계내 조기실용화를 목표로 하는 과제는 기업이 참여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지원함 |
13억원 |
선 행과
제 |
o 연구자의 독창적인 idea
실증을 위한 연구 o 중분류 기술별 자유 응모 o 연구성과 평가 후 중점 혹은 핵심연구로 전환 |
2억원 |
※ 정부지원 연구비 규모는 과제선정 평가 후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중분류별 연구과제 선정에 의해 변동될 수 있음.
4. 사업 지원
1) 지원기간
▷ 세부과제 지원은 2단계 3년간 지원을 원칙으로 함.
▷ 2단계 연구기간은 2004년 7월 1일 ∼ 2007년 3월 31일까지임.
- 1차년도 : 2004년 7월
01일 ∼ 2005년 3월 31일 ( 9개월) - 2차년도 : 2005년 4월 01일 ∼ 2006년 3월 31일 (12개월) -
3차년도 : 2006년 4월 01일 ∼ 2007년 3월 31일 (12개월) |
※ 매년 진도관리를 통하여 미흡과제는 탈락 또는 차년도 연구비를 조정함.
2) 연구비 규모
▷ 연간 100억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을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기업의 유형에 따라 연구개발비를
분담하도록 함. (단, 2단계 1차년도는 70억원임)
▷ 정부출연금은 국가 예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3) 규정 및 운영
▷ 사업단 별도의 명시가 없는 한 과제 운영의 일반적 사항은 “특정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2003. 5. 30 개정)“에 준함
▷ 연구개발비의 산정 및 정산은 별도의 지침이 없는 한 “특정연구개발사업비 산정·사용 및 정산지침(2003. 5. 30
개정)“에 준함
▷ 사업단 고유의 운영사항은 해당 사항마다 별도 공지함
4) 신청 자격
▷ 기술개발촉진법 제7조의 1항에 해당하는 기관 및 단체 또는 외국인(기관 포함)
▷ 외국인(기관 포함)은 국내기관 및 단체와 협동(또는 위탁)연구형식으로만 가능
5) 연구책임자 자격
▷ 연구책임자는 연구과제의 목표달성을 위해 의욕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성실한 연구자로서 해당분야의
연구 및 현장 종사경력이 5년 이상이어야 함.
▷ 중점 및 핵심과제의 연구책임자는 본 프론티어 사업 과제에 50% 이상 전념하여 수행하여야 함.
사업단에서는 본 과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소요 연구비를 지원할 계획임.
▷ 연구책임자에 대해서는 2개 과제까지 분산하여 참여 가능함.(예시, 연구책임 1과제, 참여 1과제)
▷ 연구수행기관은 해당연구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주요 기기 및 이의 활용능력이
있어야 함
5. 추진 방법
▷ 연구개발과제는 원천기술 우선 확보 후 실용화를 원칙으로함.
▷ 과제는 중점과제, 핵심과제, 선행과제로 구분하여 시행 함.
(중점과제는 사업단의 정책에 따라서 지정 또는 공모할 수 있음)
▷ 매년 진도관리를 토대로 차년도 연구사업을 조정.
- 진도관리 결과 미흡과제는 과제수행 중지 및 환수조치.
▷ 사업 성공을 위하여 사업단장이 모든 사업과제에 대해 조정할 권한을 가짐.
▷ 필요시 사업단장은 추가로 신규과제를 도출하여 지원할 수 있음.
6. 추진 일정
일
자 |
추 진 일
정 |
2004년 7월 01일 ∼ 2004년
7월 10일 |
사업공고 및
접수 |
2004년 7월 12일 ∼ 2004년
7월 16일 |
과제검토 |
2004년 7월 19일 ∼ 2004년
7월 23일 |
2단계 세부과제 선정 발표
평가 |
2004년 7월
27일 |
운영위원회
심의 |
2004년 7월
29일 |
선정통보 및
과제협약 |
※ 사업추진일정은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평가세부일정 등은 개별통지 없이 사업단 홈페이지(www.camp.re.kr)에 추후 공지될 예정이며 미확인에 따른 책임은 과제신청자에게 있음.
7. 접수기간 및 접수처
▷ 접수기간 : 2004년 7월 01일(월) ∼ 7월 10일(토) (18시까지 도착분에 한함)
▷ 접수 및 문의처 :
(우) 641-010 경남 창원시 상남동 66번지 (한국기계연구원 내)
차세대 소재성형 기술개발 사업단 사무국
전화 : 055-280-3365 팩스 : 055-280-3369
E-mail : info@camp.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