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주처
차세대 전지기술 융합연구단
국가
분야
접수기간
2011-08-01 ~ 2011-08-31
2011년도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플렉서블 고체형 필름전지개발」을 위한 2단계 연구파트너 공모
우리 융합연구단은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융합형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하는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의 일환으로 ‘플렉서블 고체형 필름전지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연구단은 2011년도 2단계 ‘플렉서블 고체형 팔름전지개발’을 위한 연구파트너를 공모하오니 해당분야 전문 인력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2011년 8월 1일
차세대전지기술융합연구단
단장 조 재 필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 사업목적
○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융합형 원천기술을 5년 이내에 개발하여 미래 성장동력 확충 및 국민의 삶의 질 선진화에 기여
□ 신청기관 및 책임자의 자격
○ 신청기관(주관기관) 및 연구책임자 자격 :
「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11.5.23 개정) 제11조제1항 및 제2항
- 단, 접수마감일 전일까지「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11.3.28 개정) 제27조에 의하여 참여제한이 종료되지 않는 자는 과제신청 자격이 없음.
□ 과제구성
○ 위탁과제를 포함하는 단위과제로 구성하여 지원할 수 있음.
□ 특징 및 고려사항
○ 3년간 지원을 기본으로 하되, 매년 연구진행 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연구비 변경이 있음.
□ 연구지원 분야
○ 고내구성 바이오 compatible 무선충전 슈퍼전지 개발
※ 과제신청시 과제제안요청서(RFP)내용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연구과제명 제시
□ 지원규모 및 기간
○ 총 연구비 지원규모 : 3년간 15억원 내외(5억원 내외/년)
○ 2단계 총 연구기간 : ‘11.7.1 ~ ’14.6.30(3년)
○ 당해연도 연구기간 : ‘11.7.1 ~ ’12.6.30
※ 연구개시일은 평가절차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연구기간 및 연구비는 평가(연차평가/단계평가)결과 및 연도별 예산계획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추진절차
- 공고(8.1~31) → 접수마감(8.31 18:00) → 전문가평가(9.5 전후) → 결과통보(9.10) → 최종계획서 접수(9월말)
- 선정평가방법 및 평가항목은 첨부파일 (공고) 참조
□ 제출서류 및 방법
가. 신청기간 : 2011.8.01 ~ 8.31 18:00까지
나. 신청서류
○ 신청공문 1부
○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신청서 8부 (붙임3 참조)
다. 신청방법
○ 접수기간 내에 차세대 전지기술 융합연구단 방문(또는 우편) 접수
○ 방문접수 (또는 우편접수)
- (689-798)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연리 100번지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자연과학관 701-11호 차세대 전지기술 융합연구단
□ 일정 및 평가결과 확인방법
○ 연구신청서 작성관련 자료, 평가일정 및 평가결과 등 구체적인 사항은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음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www.unist.ac.kr) → 공지사항
□ 문의처
○ 차세대 전지기술 융합연구단
Tel: 052-217-2966~7, e-mail: kijing@unist.ac.kr / Fax: 052-217-2929
붙임
1. 과제제안 요청서(RFP)
2. 연구책임자 자격 규정(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신청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