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주처
(재)대전테크노파크
국가
분야
접수기간
2011-12-19 ~ 2012-01-06
첨부파일
대전테크노파크 공고 제2011-156호
2012년~2013년 지역SW융합지원사업 수요조사 제안서 공고
(재)대전테크노파크는 지식경제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지원하여 추진 예정인 2012~2013년 지역SW융합지원사업 참여를 위한 우수 사업화 과제를 발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수요조사 제안을 공고합니다. 관심 있는 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11. 12
(재)대전테크노파크 원장
가. 수요조사 목적
○ 대전지역 핵심 기반산업(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특화산업)과 SW기술의 융합을 통한, 신규시장(상용화) 창출이 가능한 우수 과제 발굴
○ 발굴 우수과제에 대해 사업화 기획을 통해 지식경제부 공모사업 참여
나. 사업개요
○ 사 업 명 : 2012~2013년 지역SW융합지원사업
○ 사업기간 : 협약일 ~ 2013. 11월 / 약 2년
○ 사업규모 : 과제별 2개년 총 20억원 내외 / 연도별 10억원 내외(지원비 : 총 사업비의 75% 이내, 기업부담 : 총 사업비의 25% 이상)
※ 총 사업비는 지원비(국비+지방비), 기업부담금의 공동부담을 통해 구성
※ 지원비와 기업부담금 비율은“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에 따름
※ 사업비는 실제 사업화 기획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지식경제부 공모사업 선정 및 사업수행, 최종 사업종료 후 정액기술료 징수(지식경제부 고시의 “기술료 징수 및 사용·관리에 관한 통합요령”에 따름)
다. 제안내용
○ 과 제 수 : 접수 제안서 중 전문가 검증을 통해 3개 우수과제 발굴
○ 제안분야
- 충청권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분야 및 대전광역시 특화산업 분야 중 메카트로닉스 분야와 연계 되는 SW융합분야 과제
- 선도산업분야, 특화산업분야와 연계되는 SW융합과제에 대해 자유제안
- 제품 진화형(선진국과 격차축소), 신사업 모델형(신사업·서비스융합)과제 및 SW기술 융합을 통한 신규시장(상용화) 창출가능 과제 중점 추진
구분 |
분야 |
관련 산업군 |
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분야 |
New IT |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 무선통신, LED조명, RFID/USN |
의약바이오 |
바이오 신약 및 의료기기 | |
대전광역시 특화산업분야 |
메카트로닉스 |
서비스로봇, 국방로봇, 제어계측모듈, 센서 및 요소부품 등 |
라. 신청자격
○ 자격조건
- 수요조사 공고일 현재 본사 소재지가 대전지역인 기업(주관기업에 한함)
- 사업자등록증상 업종/업태 구분에서 IT·SW분야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
※ 주관기업은 반드시 소프트웨어사업자로 등록되어있는 대전지역 기업이어야 함
※ 대전지역 기업 단독 또는 컨소시엄(대기업 및 연구소 참여가능) 구성 가능
※ 수요처(수요기업 또는 수요기관)가 확보된 과제 우대(관련증빙 제출 必)
○ 제외대상
- 국세 및 지방세 체납 기업
- 동일(유사)과제에 대해 타 기관의 지원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기업
-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 제한중인 기업(대표자, 총괄책임자 포함)
마. 제출요령
○ 제출방법 : 방문제출(우편접수 및 E-mail접수 불가)
○ 제출기간 : 2012. 1. 2(월) ~ 6(금) 17:00까지 / 마감시간 엄수
○ 제 출 처 : (재)대전테크노파크 IT전용벤처타운 222호(소프트웨어사업단)
○ 문 의 처
- 담 당 자 : 김정석 대리(042-930-4811 / ultraseok@djtp.or.kr)
- 주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9로 35번지(탑립동 694번지)
바. 추진절차 및 일정
수요조사 마감 |
→ |
서면 검토 |
→ |
제안과제 선정 |
→ |
사업화 기획 |
→ |
공모 참여 |
2012. 01. 06 |
2012. 01. 09 |
2012. 01. 13 |
2012. 01. 16 ~ 2012. 01. 31 |
2012. 2월 초 |
※ 상기 일정은 추진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사. 기타사항
○ 선정된 제안과제(3개과제)는 제안서 제안기업(참여기업 포함)과 우리재단과 공동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지식경제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지역SW융합지원사업 공모사업에 참여함(사업계획서 내 주관/참여기업 명시)
○ 최종 사업수행 과제로의 확정은 지식경제부(NIPA) 공모 결과에 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