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30
org.kosen.entty.User@77f6505
김희정(kosenkhj8)
발주처
기상청
국가
분야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접수기간
2014-07-30 ~ 2014-08-18
첨부파일
1. 배경 및 목적
□ 2015년도에 기상기술개발원 차 단계(‘15~’17년) 사업 시작
□ 국가 R&D가 ‘추격형’에서 ‘선도형’ 연구개발로 패러다임의 전환에 맞춰
○ 체계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 과제의 발굴 및 수행으로 기상기술의 고도화 필요
□ 한정된 예산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차단계 기상?기후?지진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 기상?기후?지진 기술의 향상과 연계된 연구개발 과제의 중점 수행으로 R&D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 차 단계 사업 예산을 고려한 중점 추진 기술 분야의 발굴 및 기술력 제고 방안의 마련, 추진 과제의 제시 및 중장기 사업추진 전략의 수립 필요
2. 사업 개요
□ 과 제 명 :『기상 R&D 사업 수행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 소요예산 : 6천만원
□ 수행기간 : 계약일로부터 4개월
□ 계약 대상자 선정 : 제안서 평가에 의한 고득점자 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및 관련 규정에 따름
※ 선 순위 계약 상대자가 선정일로부터 7일 이내에 계약하지 않을 경우, 차 순위자와 계약
3. 과업내용 및 추진방향
□ 기상청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현황 조사 및 계획 수립
○ 단계별(예 : 과거~현재 10년 단위) 기상청 연구개발사업 실적 및 성과 분석
○ 국내 타 부처?기관 연구개발 및 국외 기상분야 연구개발 수행 체계 조사
○ 기상분야 주요 기술별 특성(기술수준, 격차, 기술발전 속도 등) 분석 및 2020년까지의 예상 기술수준 제시
※ 예상 기술수준 예시 : 기후변화 감시 기술 수준 40%(현재) → 50%(‘17년) → 60%(’20년)
○ 기상청 연구개발사업 중장기(‘15~’20년) 중점 추진분야 및 핵심기술, 단계별 달성 목표, 연구 수행 주체간 역할 제시
□ 기후변화 감시?예측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중장기 추진 전략 연구
○ 해외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감시 및 예측기술 수준 조사
※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기후변화 관련 기술개발 현황 및 미래전략 등 포함
○기존 기후변화과학 고도화 사업과 연계된 단계별(‘15~’17년, ‘18~’20년) 로드맵 및 추진과제 제시
※ 로드맵 제시 시 기상청 기후분야 관련부서(기후예측과, 기후협력서비스팀, 기후변화감시센터,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실무자 인터뷰 실시
○ 주요 사업의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사회경제적?기술적?정책적 기대효과 및 활용성 연구
※ 국내외 협력기반을 통한 체계적이며, 전략적인 기후변화과학 선진기술 확보방안 제시
□ 2015년도에 기상기술개발원 차 단계(‘15~’17년) 사업 시작
□ 국가 R&D가 ‘추격형’에서 ‘선도형’ 연구개발로 패러다임의 전환에 맞춰
○ 체계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 과제의 발굴 및 수행으로 기상기술의 고도화 필요
□ 한정된 예산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차단계 기상?기후?지진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 기상?기후?지진 기술의 향상과 연계된 연구개발 과제의 중점 수행으로 R&D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 차 단계 사업 예산을 고려한 중점 추진 기술 분야의 발굴 및 기술력 제고 방안의 마련, 추진 과제의 제시 및 중장기 사업추진 전략의 수립 필요
2. 사업 개요
□ 과 제 명 :『기상 R&D 사업 수행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 소요예산 : 6천만원
□ 수행기간 : 계약일로부터 4개월
□ 계약 대상자 선정 : 제안서 평가에 의한 고득점자 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및 관련 규정에 따름
※ 선 순위 계약 상대자가 선정일로부터 7일 이내에 계약하지 않을 경우, 차 순위자와 계약
3. 과업내용 및 추진방향
□ 기상청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현황 조사 및 계획 수립
○ 단계별(예 : 과거~현재 10년 단위) 기상청 연구개발사업 실적 및 성과 분석
○ 국내 타 부처?기관 연구개발 및 국외 기상분야 연구개발 수행 체계 조사
○ 기상분야 주요 기술별 특성(기술수준, 격차, 기술발전 속도 등) 분석 및 2020년까지의 예상 기술수준 제시
※ 예상 기술수준 예시 : 기후변화 감시 기술 수준 40%(현재) → 50%(‘17년) → 60%(’20년)
○ 기상청 연구개발사업 중장기(‘15~’20년) 중점 추진분야 및 핵심기술, 단계별 달성 목표, 연구 수행 주체간 역할 제시
□ 기후변화 감시?예측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중장기 추진 전략 연구
○ 해외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감시 및 예측기술 수준 조사
※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기후변화 관련 기술개발 현황 및 미래전략 등 포함
○기존 기후변화과학 고도화 사업과 연계된 단계별(‘15~’17년, ‘18~’20년) 로드맵 및 추진과제 제시
※ 로드맵 제시 시 기상청 기후분야 관련부서(기후예측과, 기후협력서비스팀, 기후변화감시센터,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실무자 인터뷰 실시
○ 주요 사업의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사회경제적?기술적?정책적 기대효과 및 활용성 연구
※ 국내외 협력기반을 통한 체계적이며, 전략적인 기후변화과학 선진기술 확보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