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4
org.kosen.entty.User@3232bb13
운영자(kosenadmin)
발주처
기상청
국가
분야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환경
접수기간
2020-04-06 ~ 2020-04-08
첨부파일
1. 추진배경 및 필요성
1.1. 수십 년간 누적된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전 지구 기후 및 환경 변화를 감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위성을 이용하여 정지 및 저궤도 위성자료의 정확도 개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2. 이에 국가기상위성센터는 천리안위성 1호의 알베도, 일사량, 복사량, 해수면온도를 핵심기후변수로 선정하였고, 품질 관리 및 재생산을 수행하고 있다. 산출한 핵심기후변수는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GCOS의 핵심기후변수 인벤토리에 순차적으로 등록하고 있다.
1.3. 동시에 위성자료의 기후변화감시를 위한 활용연구의 일환으로 정지궤도 위성자료 기반 수문기상요소를 산출하여 기상청 수문기상 가뭄감시시스템에 제공하고 있고, 가뭄지수를 산출하여 한반도에 발생하는 가뭄 판단을 위한 가이던스를 제작하고 있다.
1.4. 그리고, 한반도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북극환경 감시를 위해 위성으로 산출된 북극해빙 자료를 이용하여 해빙면적 현황 및 예측정보를 북극해빙감시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1.5. 또한, 천리안위성 2A호를 통해 황사, 연무(미세먼지), 화산재로 구분된 에어로졸 정보를 산출하고 있다. 2019년에 수행된 천리안위성 2A호의 기상 알고리즘 궤도상시험은 황사·미세먼지 발생이 드문 기간인 6~10월에 수행되었기 때문에 해당 알고리즘의 최적화 및 성능 평가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해 2019~2020년에 발생한 황사·미세먼지·화산재 사례를 이용하여 천리안위성 2A호 에어로졸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보완 수행하여 유관부서에 보다 정확한 위성 에어로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1.6. 본 사업은 장기간으로 축적된 천리안위성 1호 정규서비스 개시일부터 종료일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핵심기후변수를 재산출하고, 한반도 발생 가뭄 분석을 위해 가이던스의 개선 및 눈덮임자료의 추가활용을 통해 빙권감시정보를 확대·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경기상요소 산출 알고리즘의 정확도 개선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1. 수십 년간 누적된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전 지구 기후 및 환경 변화를 감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위성을 이용하여 정지 및 저궤도 위성자료의 정확도 개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2. 이에 국가기상위성센터는 천리안위성 1호의 알베도, 일사량, 복사량, 해수면온도를 핵심기후변수로 선정하였고, 품질 관리 및 재생산을 수행하고 있다. 산출한 핵심기후변수는 전 세계 사용자를 위해 GCOS의 핵심기후변수 인벤토리에 순차적으로 등록하고 있다.
1.3. 동시에 위성자료의 기후변화감시를 위한 활용연구의 일환으로 정지궤도 위성자료 기반 수문기상요소를 산출하여 기상청 수문기상 가뭄감시시스템에 제공하고 있고, 가뭄지수를 산출하여 한반도에 발생하는 가뭄 판단을 위한 가이던스를 제작하고 있다.
1.4. 그리고, 한반도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북극환경 감시를 위해 위성으로 산출된 북극해빙 자료를 이용하여 해빙면적 현황 및 예측정보를 북극해빙감시시스템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1.5. 또한, 천리안위성 2A호를 통해 황사, 연무(미세먼지), 화산재로 구분된 에어로졸 정보를 산출하고 있다. 2019년에 수행된 천리안위성 2A호의 기상 알고리즘 궤도상시험은 황사·미세먼지 발생이 드문 기간인 6~10월에 수행되었기 때문에 해당 알고리즘의 최적화 및 성능 평가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과제를 통해 2019~2020년에 발생한 황사·미세먼지·화산재 사례를 이용하여 천리안위성 2A호 에어로졸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보완 수행하여 유관부서에 보다 정확한 위성 에어로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1.6. 본 사업은 장기간으로 축적된 천리안위성 1호 정규서비스 개시일부터 종료일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핵심기후변수를 재산출하고, 한반도 발생 가뭄 분석을 위해 가이던스의 개선 및 눈덮임자료의 추가활용을 통해 빙권감시정보를 확대·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경기상요소 산출 알고리즘의 정확도 개선을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