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7
org.kosen.entty.User@2cb075e4
운영자(kosenadmin)
발주처
산림청
국가
분야
환경,기타
접수기간
2020-03-27 ~ 2020-03-31
첨부파일
1. 연구용역 배경
? 현재 산림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고용하고 있는 산불진화대원은 연간 약 20,000명 이상이며, 진화복제를 제공하고 있음.
? 올해 특히나 계속되는 가뭄과 건조한 날씨로 산불 발생에 대한 위험성은 높아짐에 따라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빈도수 및 산불진화대원의 위험은 더욱 커지게 될 것
? 현재 산불 진화를 위해 지급되고 있는 산불진화복의 복제지침의 요구치가 실제 산불 화재현장에서 진화 활동을 벌이기엔 미국 및 유럽기준과 비교하여 그 내용 및 기준치가 부족함.
? 또한 산불진화복의 디자인 및 수행 요구치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 기준과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디자인 통일이 필요함.
2. 연구용역 목적
? 국외(미국, ISO, 유럽연합, 호주)의 경우 복사(radiane), 대류(flame) 전도에 대한 보호 기능을 진화복에 적용하였고, Thermal resistance 라는 인체 쾌적성을 평가항목으로 채택하여 제품 생산
- ISO에서 제시한 시험 방법을 통해 난연성, 복사열 통과량, 불꽃열 통과량, 열수축 등의 시험에서 인증된 제품만 사용토록 법제화
? 그러나, 국내의 경우 진화복 안전성 규격에 대한 기준이 최근에서야 마련되었으며, 업체별 진화복 디자인 및 사양이 상이하여 일선 현장에서 제품을 구매에 다소 어려움이 있음.
? 산불 현장에서 진화대원 간 복제 디자인이 상이하여 산불진화에 투입된 대원의 현황 파악이 어렵고, 유관기관 협조 등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야기되어 진화복제의 통일에 대한 필요성 인식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산림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고용하고 있는 산불진화대원은 연간 약 20,000명 이상이며, 진화복제를 제공하고 있음.
? 올해 특히나 계속되는 가뭄과 건조한 날씨로 산불 발생에 대한 위험성은 높아짐에 따라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빈도수 및 산불진화대원의 위험은 더욱 커지게 될 것
? 현재 산불 진화를 위해 지급되고 있는 산불진화복의 복제지침의 요구치가 실제 산불 화재현장에서 진화 활동을 벌이기엔 미국 및 유럽기준과 비교하여 그 내용 및 기준치가 부족함.
? 또한 산불진화복의 디자인 및 수행 요구치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 기준과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디자인 통일이 필요함.
2. 연구용역 목적
? 국외(미국, ISO, 유럽연합, 호주)의 경우 복사(radiane), 대류(flame) 전도에 대한 보호 기능을 진화복에 적용하였고, Thermal resistance 라는 인체 쾌적성을 평가항목으로 채택하여 제품 생산
- ISO에서 제시한 시험 방법을 통해 난연성, 복사열 통과량, 불꽃열 통과량, 열수축 등의 시험에서 인증된 제품만 사용토록 법제화
? 그러나, 국내의 경우 진화복 안전성 규격에 대한 기준이 최근에서야 마련되었으며, 업체별 진화복 디자인 및 사양이 상이하여 일선 현장에서 제품을 구매에 다소 어려움이 있음.
? 산불 현장에서 진화대원 간 복제 디자인이 상이하여 산불진화에 투입된 대원의 현황 파악이 어렵고, 유관기관 협조 등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야기되어 진화복제의 통일에 대한 필요성 인식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