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산림소득사업 사후관리 평가 및 컨설팅 방안 연구

발주처

산림청

국가

분야

기타

접수기간

2020-04-13 ~ 2020-04-24


1. 추진배경 및 필요성
1) 단기소득임산물 품목별 여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종합적이고 객관적 시각으로 사후관리 평가하여 정책 방향 결정
2) 임업인들이 사업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창구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실질적 도움이 될 모델(사례)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세부 지원 품목 등의 효과를 분석하여 지원단가, 지원품목 등의 개선 및 발굴 필요
3) 점차 중요시되고 있는 사후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산림소득 분야에 맞는 사후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관련 규정 개정방안 마련

2. 주요 내용
1) 산림소득사업에 대한 조사?분석
o 단기소득임산물 품목별 생산ㆍ소득 변화 추이 조사ㆍ분석(FTA 관련 여건 반영)
o 임산물과 농산물에 대한 국내·외 지원 정책 비교·분석하여 도입·개선방안 제시
o 최근 3년간(’17∼’19) 산림소득사업* 사업별ㆍ품목별 사후관리** 현황 분석
* 분석대상사업 : 산림작물생산단지, 산림복합경영단지, 산지종합유통센터, 가공산업활성화, 임산물클러스터
** 사 후 관 리 : 사업관리 및 중요재산 관리 현황
o 산림작물생산단지 및 산림복합경영단지 공종별 지원조건 및 단가(지원한도 포함)의 적정성
o 보조금으로 지원한 주요 장비(굴삭기, 모노레일 등)의 활용실적 및 추가 필요장비 지원 방안
o 산림소득지원사업 표준품셈(2017.12.)의 현장 적용 사례 및 개선 사항
 
2) 조사ㆍ분석 결과에 따른 산림소득사업 평가
o 단기소득임산물 품목별 향후 수급상황 전망
o 현행 지원 정책(지원 요건 및 절차 등)에 대한 장ㆍ단점 도출
o 산림소득사업에 대한 일자리 창출ㆍ고용 효과 산출
o 산림소득사업에 대한 사후관리 적정성 평가
 
3) 산림소득사업 정책 발전을 위한 방안 제시
o 조사ㆍ분석ㆍ평가 결과에 따른 산림소득사업 정책방향 제시
o 산림소득사업 사후관리 방안 제시
o 산림소득사업 교육ㆍ홍보ㆍ컨설팅 방안 제시
o 산림소득사업 추진을 위한 알기 쉬운 해설서(가이드북) 작성
- 산림소득사업 신청서(사업계획서 포함) 작성 방법 등 해설서 수록
* 사업신청∼사업계획수립∼사업실행∼정산서류(인건비, 계약서 등)∼중요재산관리
* 필수작성 대상 : 산림작물생산단지(공모·소액), 산림복합경영단지(공모·소액)
- 산림소득사업 신청 및 실행 시 주의사항, 참고할 사항
- 지역별 산림소득사업 권장 품종 및 모범사례 발굴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