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4
org.kosen.entty.User@3bc626b6
운영자(kosenadmin)
발주처
보건복지부
국가
분야
보건의료,정보/통신
접수기간
2020-04-28 ~ 2020-05-04
첨부파일
- 1) 20200430294-00_1587435937093_용역계약일반조건.hwp (205.5 KB)
- 2) 20200430294-00_1587435937073_제안요청서.hwp (659 KB)
- 3) 20200430294-00_1587435937093_국가계약법제27조의5및동법시행령제12조제5항에따른서약서 .hwp (15.5 KB)
- 4) 20200430294-00_1587435937093_용역입찰유의서.hwp (148.5 KB)
- 5) 20200430294-00_1587435937113_청렴계약서(서약서).hwp (12.5 KB)
- 6) 20200430294-00_1587435937073_과업내용서.hwp (94.5 KB)
- 7) 20200430294-00_1587435937053_입찰공고서.hwp (71.5 KB)
-
1) 20200430294-00_1587435937093_용역계약일반조건.hwp
(205.5 KB)
-
2) 20200430294-00_1587435937073_제안요청서.hwp
(659 KB)
-
3) 20200430294-00_1587435937093_국가계약법제27조의5및동법시행령제12조제5항에따른서약서 .hwp
(15.5 KB)
-
4) 20200430294-00_1587435937093_용역입찰유의서.hwp
(148.5 KB)
-
5) 20200430294-00_1587435937113_청렴계약서(서약서).hwp
(12.5 KB)
-
6) 20200430294-00_1587435937073_과업내용서.hwp
(94.5 KB)
- 7) 20200430294-00_1587435937053_입찰공고서.hwp (71.5 KB)
1. 사업명 : 환자 중심의 통합·연계형 의료서비스 제공방안 연구
2. 목적 및 필요성
○ 현행의 사후 치료 중심의 분절적 의료체계를 미래를 대비한 예방적 건강관리 및 환자 중심의 연계.협력 체계로 전환할 필요
- 복합.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환자 치료,건강예방, 의료비 절감 등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의료기관 연계.협력이 필수적
- 미국, 영국, 스웨덴은 환자 중심 협력구조, 건강 예방 등 성과 창출, 의료비 절감 등을 위해 의료기관 간 협력의료체계로 전환 중
* (미국) ACO제도, 다양한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 마련, 성과에 따른 책임 공유(영국) 지역사회 환자를 중심으로 의료 및 복지인력 배치, 성과에 기반한 보상(스웨덴) 지역단위 일차-병원의료-사회서비스 간 연속서비스(seamless care) 제공
○ 현재 한국 의료체계는 단일 의료기관별로 환자를 진료하고, 진료량에 따라 급여를 지급받는 구조로,
- 의료기관 간 경쟁 심화, 의료서비스의 분절적 제공, 복합.만성질환 등 향후 증가할 의료수요에 효과적 대응 곤란, 타 의료기관 이용 시 중복검사 등 재정 지출 문제 발생
○ 이에, 의료기관이 서로 연계.협력하여 진료량이 아닌 환자 치료.건강개선 성과 등 가치에 기반한 의료체계로 전환하는 방안 검토 추진
- 의료기관간 연계.협력을 통해 환자를 연속적(seamless) 관리, 환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형 개발 및 동 모형에 맞는 보상체계 적용방안 연구 필요
3. 사업기간 : 계약일로부터 6개월
4. 사업수행체계
○ (계약방식) 공개경쟁입찰 (예산액 70백만원)
○ (추진절차) 연구용역 계획 수립(4월) → 입찰 및 연구자 선정(5월)→ 계약체결(5월) → 중간보고(7월) → 최종보고(11월)
○ (추진체계)
- (보건복지부) 연구 총괄 관리 및 추진 방향 협의 등
* 발주부서 및 과제 총괄 : 보건의료정책과
- (계약기관) 자료 조사·분석 등 연구 수행 및 중간·최종 보고 등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목적 및 필요성
○ 현행의 사후 치료 중심의 분절적 의료체계를 미래를 대비한 예방적 건강관리 및 환자 중심의 연계.협력 체계로 전환할 필요
- 복합.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환자 치료,건강예방, 의료비 절감 등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의료기관 연계.협력이 필수적
- 미국, 영국, 스웨덴은 환자 중심 협력구조, 건강 예방 등 성과 창출, 의료비 절감 등을 위해 의료기관 간 협력의료체계로 전환 중
* (미국) ACO제도, 다양한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 마련, 성과에 따른 책임 공유(영국) 지역사회 환자를 중심으로 의료 및 복지인력 배치, 성과에 기반한 보상(스웨덴) 지역단위 일차-병원의료-사회서비스 간 연속서비스(seamless care) 제공
○ 현재 한국 의료체계는 단일 의료기관별로 환자를 진료하고, 진료량에 따라 급여를 지급받는 구조로,
- 의료기관 간 경쟁 심화, 의료서비스의 분절적 제공, 복합.만성질환 등 향후 증가할 의료수요에 효과적 대응 곤란, 타 의료기관 이용 시 중복검사 등 재정 지출 문제 발생
○ 이에, 의료기관이 서로 연계.협력하여 진료량이 아닌 환자 치료.건강개선 성과 등 가치에 기반한 의료체계로 전환하는 방안 검토 추진
- 의료기관간 연계.협력을 통해 환자를 연속적(seamless) 관리, 환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형 개발 및 동 모형에 맞는 보상체계 적용방안 연구 필요
3. 사업기간 : 계약일로부터 6개월
4. 사업수행체계
○ (계약방식) 공개경쟁입찰 (예산액 70백만원)
○ (추진절차) 연구용역 계획 수립(4월) → 입찰 및 연구자 선정(5월)→ 계약체결(5월) → 중간보고(7월) → 최종보고(11월)
○ (추진체계)
- (보건복지부) 연구 총괄 관리 및 추진 방향 협의 등
* 발주부서 및 과제 총괄 : 보건의료정책과
- (계약기관) 자료 조사·분석 등 연구 수행 및 중간·최종 보고 등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