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6-29
org.kosen.entty.User@46ea1373
운영자(kosenadmin)
발주처
산림청
국가
분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농림수산식품
접수기간
2020-06-25 ~ 2020-07-07
첨부파일
1. 과 업 명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2. 과업기간 : 계약체결일로부터 2020.12.15.까지
3. 과업금액 : 30,000천원(부가가치세 포함)
4. 과업배경 및 필요성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시행(’19.7월) 및 ‘산림복원 기본계획(’20~’29)’ 수립에 따라 산림복원 사업규모 확대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2조의10
* 산림복원 추진현황 : (’06~’19) 누계 546ha, 연평균 39ha → (’20) 96ha
- 산림복원사업 확대 대비 일선 현장에서는 산림기사, 산림공학기술자 등 기존 제도에 따른 산림토목사업과 구별 없이 시행하고 있어 산림복원 특유의 독립성, 특수성을 반영한 시공이 미흡함
- 산림복원분야는 생태, 환경, 생물, 토목 등 다양한 분야가 연관되어 있어 사업수행자는 산림복원의 특수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전문지식과 주기적인 교육 필요함
5. 과업목적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2조의10에 따른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 개선·도입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관리체계 구축 및 커리큘럼을 구성하여 제도의 활성화 방안 마련
6. 과업의 범위 및 내용
* (조사·분석) 산림복원 관련 자격제도 국내·외 현황 조사·분석
- 산림·생태복원·토목기사 등 관련 자격증 취득 및 수요 현황 분석
- 산림, 생태, 토목분야별 기술현황 등을 조사하여 유사 자격과 분리·구별·연계 방안 등을 분석
- 산림복원 관련 국외 자격제도 현황조사 및 사례 분석
- 산림복원 전문인력 수요예측 및 전망 분석
* (자격제도) 산림복원 전문성을 위한 국가전문자격제도 도입·운영 방안
- 산림복원 자격제도 신설의 목적, 필요성, 당위성 등을 검토·제기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의 유형 및 기준, 사업현장 배치기준 등 자격제도 도입의 법적근거 마련 방안 제시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 기준 및 지원 방안, 교육 대상자, 자격증 수요 등을 고려한 자격제도 관리방안 제시
- 자격제도 도입 시 기존 유사 자격과 관계정립을 통한 활용방안 제시
* (커리큘럼)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제시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항목 및 시간 제시
- 산림복원 기술자격에 산림, 조경, 자연생태복원기사 등 토목·생태·환경·식물분류 등 연계된 다양한 분야가 참여할 수 있는 커리큘럼 제시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과업기간 : 계약체결일로부터 2020.12.15.까지
3. 과업금액 : 30,000천원(부가가치세 포함)
4. 과업배경 및 필요성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시행(’19.7월) 및 ‘산림복원 기본계획(’20~’29)’ 수립에 따라 산림복원 사업규모 확대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2조의10
* 산림복원 추진현황 : (’06~’19) 누계 546ha, 연평균 39ha → (’20) 96ha
- 산림복원사업 확대 대비 일선 현장에서는 산림기사, 산림공학기술자 등 기존 제도에 따른 산림토목사업과 구별 없이 시행하고 있어 산림복원 특유의 독립성, 특수성을 반영한 시공이 미흡함
- 산림복원분야는 생태, 환경, 생물, 토목 등 다양한 분야가 연관되어 있어 사업수행자는 산림복원의 특수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전문지식과 주기적인 교육 필요함
5. 과업목적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2조의10에 따른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 개선·도입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관리체계 구축 및 커리큘럼을 구성하여 제도의 활성화 방안 마련
6. 과업의 범위 및 내용
* (조사·분석) 산림복원 관련 자격제도 국내·외 현황 조사·분석
- 산림·생태복원·토목기사 등 관련 자격증 취득 및 수요 현황 분석
- 산림, 생태, 토목분야별 기술현황 등을 조사하여 유사 자격과 분리·구별·연계 방안 등을 분석
- 산림복원 관련 국외 자격제도 현황조사 및 사례 분석
- 산림복원 전문인력 수요예측 및 전망 분석
* (자격제도) 산림복원 전문성을 위한 국가전문자격제도 도입·운영 방안
- 산림복원 자격제도 신설의 목적, 필요성, 당위성 등을 검토·제기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의 유형 및 기준, 사업현장 배치기준 등 자격제도 도입의 법적근거 마련 방안 제시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기관 지정 기준 및 지원 방안, 교육 대상자, 자격증 수요 등을 고려한 자격제도 관리방안 제시
- 자격제도 도입 시 기존 유사 자격과 관계정립을 통한 활용방안 제시
* (커리큘럼)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제시
- 산림복원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커리큘럼 항목 및 시간 제시
- 산림복원 기술자격에 산림, 조경, 자연생태복원기사 등 토목·생태·환경·식물분류 등 연계된 다양한 분야가 참여할 수 있는 커리큘럼 제시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