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Post COVID19 대응 항공산업의 포트폴리오 다양화 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 연구_재공고

발주처

국토교통부

국가

분야

기계

접수기간

2020-07-02 ~ 2020-07-06


1. 과업명 : Post COVID19 대응 항공산업의 포트폴리오 다양화 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 연구
 
2. 과업의 배경 및 목적
 
ㅇ 국제통화기금(IMF) 및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Fitch)에 따르면 1930년 대공황 이후 COVID19으로 인해 최악의 전 세계적 경기침체를 전망
* “한국, 22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할 것,” 한국경제, 2020년4월
 
ㅇ 항공산업의 경우 COVID19의 타격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최악의 마이너스 실적으로 인해 항공 분야는 2020년 1분기 영업이익 평균 마이너스 2,174%를 기록
* “코로나 고통은 평등하지 않다...항공업계 1분기 2,174%,” 폴리뉴스, 2020년5월
 
ㅇ COVID19으로 인해 생긴 여행절벽은 국내외 관광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상용 비즈니스나 공무를 제외하고는 여행교류가 완전히 끓기며 2020년 4월 방한 외국인은 전년대비 98% 감소하였으며, 해외로 나간 우리 국민들의 수도 전년대비 99% 감소
* “외국인 아예 안온다, 4월 방한 98%↓,” 머니투데이, 2020년5월
 
ㅇ 그동안 항공산업은 유가변동, 외교분쟁, 전염병 등 외부변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으며, COVID19으로 인해 항공산업의 취약점이 부각되며 안정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사업 다각화의 필요성 대두
 
ㅇ 이에 따라, 국제항공화물 활성화, 인바운드 수요 창출, 국제선과 국내선 연계 시너지 효과 증대 등을 통해 Post COVID19 대응 국내 항공산업의 포트폴리오 다양화 필요
3. 과업의 기간
 
ㅇ 용역기간은 계약일로부터 ‘20.12.20일까지로 한다.
* 부득이한 사유로 과업기간 연장 필요 시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 연장 가능
 
4. 과업의 범위
 
4.1. Post COVID19 대응 항공산업의 포트폴리오 다양화 전략 수립을 위해 아래 4개 과제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 수행
 
대응 과제  
1. 국내 항공산업의 현 포트폴리오 분석 및 해외사례 비교  
2. 국제항공화물 현황 및 활성화 전략  
3. 국제항공 인바운드 현황 및 수요 창출 전략  
4. 국제항공 네트워크 지원 위한 국내선 활성화 전략  
 
4.2. 회의 발표자료(보고서, PPT) 작성
 
5. 용역의 시행 방법
 
용역설계서에 의거하여 도급으로 시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