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7
org.kosen.entty.User@3bb26fd2
운영자(kosenadmin)
발주처
환경부
국가
분야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환경
접수기간
2020-07-20 ~ 2020-07-22
첨부파일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국내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과학적 연구를 통한 주변국의 대기 중 오염물질농도 저감 지원 필요
- 한·중 정상회의시(`14.7.4, 서울) 「환경협력 양해각서」개정을 계기로 한·중 공동연구단이 구성·운영(`15.6~)됨에 따라 `17년부터 “대기질 공동관측 연구 프로젝트”본격 추진
- “청천 계획” 합의(‘19.11)에 따른 공동연구 확대 등 중국 동북부지역의 대기오염 원인 규명 및 양국의 대기질 모델 성능 개선
<과업내역>
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 수행
지상 관측을 통한 미세먼지 발생원 추정
- 한·중 각각 4개 도시 총 8개 도시를 중심으로 PM2.5 필터 샘플링을 통한 상시 집중관측 수행
- 한국 추가 관측지점 시료채취 장비 설치 및 운영 관리(광주, 제주)
- 관측 결과 및 기상자료의 수용모델 적용을 통한 베이징과 서울의 PM2.5 주요 발생원 및 기여율 추정
-‘20년 겨울철 집중관측 수행을 통한 양국 주요 도시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원인 분석
- 대기오염물질의 연직분포 측정을 위한 VOCs, O3의 측정센서 선정 및 성능평가 시험
·센서 구성 및 시료공급 펌프 시스템, 전원 공급시스템 설계 및 제작
·측정 Data 확보 및 Logging system
화학수송모델을 통한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변환 특성 연구
- 고해상도(9㎞ x 9㎞) 화학수송모델 수행 및 결과 분석
·상세 공간 해상도(9㎞)의 기상모델링 및 화학수송모델링 시스템(배출량, 대기화학모델) 구축 및 운영
·양국의 고농도 발생기간에 대한 화학수송모델링 수행(세부 기간은 발주처와 협의 후 최종 결정)
※ 최신 동아시아 배출량(예: CREATE 최신 version)을 적용하여 기본 대기질 수치모의 실험용 배출량 입력 자료(Control-case emission inventory, CON-EI)를 구축하고 중국 연구팀이 제공한 징진지 지역 최근 대기오염 배출 저감율을 반영해 모델 민감도 실험용 배출량 자료(Sensitivity-case EI, SENS-EI)를 구축하여 해당 기간에 대해 모델링 수행
·모델링 수행 결과 이용, 중국 징진지 지역의 배출저감 민감도 분석
- 고농도 발생 사례 시 중국 동북부 지역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및 화학반응 특성 연구
·모델 연구기간 중 중국 동북부 지역 고농도 사례 해석
·고농도 사례에 대해 관측 및 모델링 결과 값 상세 비교분석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기상조건과 화학반응 특성을 분석
- 양국 대기질 수치 모델링의 정확도 개선 방안 제시
·관측자료와 모델 성능평가(배출 입력 자료의 모델 민감도 평가 등)를 활용, 수치모의 결과의 부정확성 원인 파악
·한·중 양국 모델 성능평가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 모델링 정확도 개선 방안 제시(양국 모델 성능평가 구체 내용은 발주처 및 중국 연구진과 협의 후 최종 결정)
* 한국의 CMAQ 모델, 중국의 CAMx모델 수행 결과를 비교분석
<과업의 기간 및 예산>
기 간 : 계약 후 300일
예 산 : 2,362백만원(부가세 포함)
- 예산과목 1600-1634-302-260, 대기오염측정망 구축 운영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과학적 연구를 통한 주변국의 대기 중 오염물질농도 저감 지원 필요
- 한·중 정상회의시(`14.7.4, 서울) 「환경협력 양해각서」개정을 계기로 한·중 공동연구단이 구성·운영(`15.6~)됨에 따라 `17년부터 “대기질 공동관측 연구 프로젝트”본격 추진
- “청천 계획” 합의(‘19.11)에 따른 공동연구 확대 등 중국 동북부지역의 대기오염 원인 규명 및 양국의 대기질 모델 성능 개선
가. 한중 대기질 공동연구 수행
지상 관측을 통한 미세먼지 발생원 추정
- 한·중 각각 4개 도시 총 8개 도시를 중심으로 PM2.5 필터 샘플링을 통한 상시 집중관측 수행
- 한국 추가 관측지점 시료채취 장비 설치 및 운영 관리(광주, 제주)
- 관측 결과 및 기상자료의 수용모델 적용을 통한 베이징과 서울의 PM2.5 주요 발생원 및 기여율 추정
-‘20년 겨울철 집중관측 수행을 통한 양국 주요 도시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원인 분석
구분 | 상시 관측 | |
대상지역 | 베이징, 바오딩, 다롄, 창다오, 서울, 인천, 광주, 제주 | |
대상기간 | 2020.7∼2021.4 | |
측정항목 | 자동측정 (1시간 간격) |
SO2, NO2, O3, CO, PM2.5, PM10 |
필터샘플링 (동절기 3일/1회, 하절기 6일/1회 간격으로 23시간) |
PM2.5 질량농도 및 성분조성 (이온, 탄소, 금속, 유기물질 성분) |
- 대기오염물질의 연직분포 측정을 위한 VOCs, O3의 측정센서 선정 및 성능평가 시험
·센서 구성 및 시료공급 펌프 시스템, 전원 공급시스템 설계 및 제작
·측정 Data 확보 및 Logging system
화학수송모델을 통한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변환 특성 연구
- 고해상도(9㎞ x 9㎞) 화학수송모델 수행 및 결과 분석
·상세 공간 해상도(9㎞)의 기상모델링 및 화학수송모델링 시스템(배출량, 대기화학모델) 구축 및 운영
·양국의 고농도 발생기간에 대한 화학수송모델링 수행(세부 기간은 발주처와 협의 후 최종 결정)
※ 최신 동아시아 배출량(예: CREATE 최신 version)을 적용하여 기본 대기질 수치모의 실험용 배출량 입력 자료(Control-case emission inventory, CON-EI)를 구축하고 중국 연구팀이 제공한 징진지 지역 최근 대기오염 배출 저감율을 반영해 모델 민감도 실험용 배출량 자료(Sensitivity-case EI, SENS-EI)를 구축하여 해당 기간에 대해 모델링 수행
·모델링 수행 결과 이용, 중국 징진지 지역의 배출저감 민감도 분석
- 고농도 발생 사례 시 중국 동북부 지역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및 화학반응 특성 연구
·모델 연구기간 중 중국 동북부 지역 고농도 사례 해석
·고농도 사례에 대해 관측 및 모델링 결과 값 상세 비교분석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기상조건과 화학반응 특성을 분석
- 양국 대기질 수치 모델링의 정확도 개선 방안 제시
·관측자료와 모델 성능평가(배출 입력 자료의 모델 민감도 평가 등)를 활용, 수치모의 결과의 부정확성 원인 파악
·한·중 양국 모델 성능평가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 모델링 정확도 개선 방안 제시(양국 모델 성능평가 구체 내용은 발주처 및 중국 연구진과 협의 후 최종 결정)
* 한국의 CMAQ 모델, 중국의 CAMx모델 수행 결과를 비교분석
<과업의 기간 및 예산>
기 간 : 계약 후 300일
예 산 : 2,362백만원(부가세 포함)
- 예산과목 1600-1634-302-260, 대기오염측정망 구축 운영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