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도 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계획 공고
'17년도 환경기술개발사업 추진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연구개발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 단체 또는 사업자는 2017.3.6(월) 17:00까지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7년 2월 3일
환 경 부 장 관
1. 대상사업 및 사업목적
?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 (사업목적) 현장적용이 시급하거나 단기간 내에 시장 활성화가 가능한 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통해 산업의 에코효율성 및 경쟁력 향상
?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
- (사업목적) 지역 환경현안 문제해결 및 미래유망 중소환경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우수 환경기술의 현장적용 실증화 지원
?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 (사업목적) 정부정책 등 공공환경기술의 수요해결을 통하여 국가 환경정책을 실현하고, 환경보전 및 국민 삶의 질 향상
2. 공모내용
사업명
|
분 야
|
추진방식
|
추진
단계
|
과제명 또는 세부기술
|
공모 방법
|
지원 기간
|
지원
금액
|
주관기관 조건
|
지원
조건
|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사업
|
대기질 개선 및 지구환경 대응기술
|
통합
|
실용화
|
연소가스 중 2차생성물 동시 처리 시스템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12억원 내외
(‘17년 4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산업공정에서의 VOCs/악취와 먼지를 동시 제거하는 고효율 후처리시스템 실증화 개발
|
지정
|
2년 이내
|
총 8억원 내외
(‘17년 4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정전분무 시스템과 전기집진기가 결합된 미세먼지 제거기술 개발
|
지정
|
2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
통합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산성가스 제거용 건식반응 시스템 개발
|
지정
|
2년 이내
|
총 14억원 내외
(‘17년 7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
개별
|
실용화
|
초초미세먼지 입자 조대화 및 제거 설비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3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자유공모(VOCs, 미세먼지, 복합대기오염물질 등 저감 기술)
|
자유
|
2년 이내
|
총 20억원 내외
(‘17년 10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성과혁신형
|
생활 환경질향상기술
|
개별
|
실용화
|
환경기초시설의 악취 상시 모니터링 및 능동 제어기술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9억원 내외
(‘17년 3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실용화
|
주택 환기설비와 레인지후드 연동 실내공기질 제어시스템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9억원 내외
(‘17년 3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실용화
|
고농도 황계열 악취제어를 위한 환경기초시설 내 습식·반건식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지정
|
3년 이내
|
총 9억원 내외
(‘17년 3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자유공모(생활환경질 관리개선 기술)
|
자유
|
2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성과혁신형
|
에코공정 기반기술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자유공모(친환경 대체소재/제품, 유해물질저감기술, 산업설비 환경성 향상기술)
|
자유
|
2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성과혁신형
|
위해성 평가관리 및 감축기술
|
개별
|
실용화
|
환경부하(SVHC, 고위험성물질) 저감용 화학 발포제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12억원 내외
(‘17년 4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폐기물을 재활용한 독성 및 부식 저감형 비염화물계 제설제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15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
통합
|
실용화
|
중금속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 중금속 처리장치 개발
※ 성능목표
- 수질환경보전법 상 방류수 수질기준(청정지역 기준) 내 중금속 관련 배출기준 만족
- 6개월이상 연속운전을 통한 성능 검증 실시
※ 성과목표
- 특허 : 출원 0.2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및 SMART분석 평균 BB 등급 이상의 등록 0.1건(정부출연금 1억원당)
|
자유
(품목 지정형)
|
3년 이내
|
총 18억원 내외
(‘17년 6억원 내외)
|
제한없음
|
경쟁형과제
|
개별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자유공모(유해 화학물질 저감기술, 국제 이머징이슈 대응기술, 신종 유해인자 관리 및 저감 기술, 환경성질환 유발 유해인자 대응기술)
|
자유
|
2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중소·중견기업
|
성과혁신형
|
공통
|
통합
|
실용화
|
"Bridge 프로그램"
※ 지원조건
- 미래창조과학부 우수 기초환경기술을 환경부 실용화 연구로 연계하는 프로그램
(상세내용 p.7 참조)
|
자유
|
3년 이내
|
총 18억원 내외
(‘17년 6억원 내외)
|
기업
|
Bridge
프로그램
|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
|
지자체 Test-bed 실증화
|
개별
|
실증사업화
|
농축수산 도매시장 유기폐기물 기계적 전처리 장치 실증화
|
지정
|
2년 이내
|
총 6억원 내외
(‘17년 3억원 내외)
|
기업
|
사전연구과제
|
개별
|
실증사업화
|
정수장 방류수 수질개선 슬러지 개량처리 장치 실증화
|
지정
|
2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기업
|
사전연구과제
|
중소기업 우수기술 육성실증화
|
개별
|
실증사업화
|
하폐수처리 기술 또는 폐기물처리 및 관리기술
|
자유
|
2년 이내
|
총 10억원 내외
(‘17년 5억원 내외)
|
중소기업
|
성과혁신형
|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
대기
환경
|
연구단
|
공공활용
|
환경위성탑재체 알고리즘 개발 연구단(II)
|
지정
|
4년이내
|
총 52억원 내외
(’17년 7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상하
수도
|
통합
|
공공활용
(Test-bed)
|
도심 생활악취(하수도, 고기구이 음식점) 방지 기술 개발
|
지정
|
4년이내
|
총 100억원 내외
(’17년 14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자연
보전
|
ERL
|
목적원천
|
동물 울음소리를 통한 동물종 인식 기술 개발
※ 성능목표
- 동물 소리 입력으로 종을 구별할 수 있는 웹(+모바일) 기반 분석 기술 개발 및 전국단위 DB화 체계 구축
※ 성과목표
- 논문(SCI) : 1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 및 mrnIF 평균값 62.12 이상 논문 달성
- 특허 : 출원 1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 및 스마트 분석 평균 B등급 이상 등록 1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
|
자유
(품목 지정형)
|
4년
이내
|
총 16억원 내외
(’17년 3.53억원 내외)
|
대학·출연연·기타비영리연구소
|
|
(다부처)자원
순환
|
개별
|
공공활용
(Test-bed)
|
열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음폐수와 매립지 침출수 병합처리 기술 개발
|
지정
|
3년
이내
|
총 18억원 내외
(’17년 4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개별
|
공공활용
(Test-bed)
|
음식물쓰레기 염분제거 기술 개발
※ 성능목표
- 전기화학적,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을 이용한 염분제거 기술 개발
*세척·탈수, 톱밥혼합 이용한 세척·희석 기술 제외, 염분 등 오염원의 매체전이(예시 : 폐기물→폐수) 제외
- 처리 후 산물 내 함유 염분 0.3% 이하
- 기존 유사연구와의 차별성 및 경제성 확보 제시 필수
※ 성과목표
- 논문(SCI) : 0.2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
- 특허 : 출원 0.2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및 스마트 분석 평균 B등급 이상 등록 0.1건(정부출연금 1억원 당)
- 정책활용도 : 정책반영 1건(세부과제건 당) 또는 지역사회 이전 1건
|
자유
(품목 지정형)
|
3년
이내
|
총 18억원 내외
(’17년 4억원 내외)
|
제한없음
|
|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의 성과혁신형 사업화과제는 총 8개 내외, 경쟁형과제(위해성 분야)는 2개, Bridge형 총 4개 내외 과제선정 예정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의 성과혁신형 사업화과제(중소기업 분야)는 1∼2개 과제 선정 예정
3. 추진방식·단계 및 공모방법
구분
|
내용
|
추진방식
|
통합형과제
|
? 총괄과제와 세부과제로 구성·수행되는 단위과제로, 2가지 이상의 독립된 세부기술개발을 통합한 일체형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
|
개별과제
|
? 하나의 독립기술을 개발해 기술의 사업화 또는 정책 활용을 달성하는 과제
|
연구단과제
|
? 환경정책의 실현을 위해 장기, 집중투자가 필요한 공익성격이 큰 기술을 연구단장 책임하에 개발하는 과제
|
ERL
|
o 환경산업의 요체가 될 수 있는 첨단 환경기술연구 또는 정책활용 등 공공 성격의 연구로써대학, 출연연, 기타 비영리 연구소의 실험실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원천연구 과제
|
추진단계
|
실용화
|
?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
실증사업화
|
? 개발된 기술의 실증설비 적용을 위하여 최적화·규모확장 및 주변기술 확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
실증사업화
(수요자기반)
|
? 수요자(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 지자체)가 구매의사를 밝히고 개발을 제안한 기술에 대해, 기업이 주도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과제
|
공공활용(Test-bed)
|
? 개발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공공정책 수요 기반의 대규모 R&D 실증 플랜트(Test-bed)를 구축함으로써 실규모에서 운영실적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는 과제
|
공공활용
|
? 정부, 지자체 등의 정책수요 기술의 공공활용, 제도개선을 목표로 대학?출연연, 기업 등이 참여하여 추진하는 기술개발과제
|
목적원천
|
? 기술적 사상(연구개발 아이디어)을 기초연구를 통하여 기술적 타당성과 실용화 가능성을 연구하는 과제
|
공모방법
|
지정공모
|
? 사업제안요구서(RFP)의 ‘세부개발대상 기술’, ‘기술개발목표’, ‘연구성과물’, ‘성과목표’에 부합하는 기술에 한하여 신청(’17년도 사업제안요구서 참조)
※ 사업제안요구서(RFP) 내용 상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일부 제안조정 가능
|
자유공모
|
?(일 반) 제시된 세부기술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제안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기술설치제품공정 개량컨설팅 지원사업" 또는 특허청 "IP제품혁신사업"을 “성공” 수행한 과제 우대(신청 시 사전 수행연구의 최종보고서와 함께 “성공”판정을 받은 공문 제출 시 사전검토 단계 생략)
|
?(품목지정형) 제시된 세부기술의 성능목표 또는 기술범위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제안
|
4. 지원조건
? 성과혁신형 사업화과제
- R&D 사업화를 목적으로 사업화 목표달성과 활용가능성에 중점을 둔 과제로서 협약 시‘최소성과목표’와 ‘최종성과목표’를 정하여 성과목표 달성여부에 따라 인센티브 또는 패널티 부과
※ 최소(최종)성과목표 관련 내용 및 추적평가에 인센티브, 패널티 상세 내용은 사업안내서 p.69 참조
? 경쟁형과제
- 선정평가를 통해 복수의 연구수행기관을 선정하여 동일한 연구목표로 서로 다른 접근방식의 연구를 경쟁하여 수행하는 과제로, 선정·연차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연구비를 차등 지급
※ 연차평가 중단과제가 발생한 경우 필요 시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통합추진 가능
? Bridge 프로그램형 과제
- 미래창조과학부 우수 기초환경기술을 환경부 실용화 연구로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기개발한 우수기초기술 개발자와 환경기업의 컨소시엄 연구를 추진
- 자율적으로 관련 연구분야, 연구목적, 연구방향 및 과제명을 선정하는 자유공모 과제로 아래의 미래창조과학부 우수 기초환경기술에 한하여 신청가능(상세 내용 사업안내서p.69~70 참조)
※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4개 분야(대기, 생활, 에코공정, 위해성) 중 선택하여 지원하며사업목적 및 분야 적합성 확인을 위해, 해당분야 담당자(p.10 공고기간 및 문의처 참조)에게 사전문의 필요
<미래창조과학부 우수 기초환경기술 목록>
번호
|
미래창조과학부 우수 기초환경기술
|
연구기관
|
연구
책임자
|
연락처
|
1
|
중금속 이온의 선택적 흡착을 위한 이온 각인 메조다공성 실리카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
김성배
|
02)880-4587
songbkim@snu.ac.kr
|
2
|
혼합 대기 에어러솔 광학적 특성 연구를 위한 고성능 라이다 시스템 개발
|
광주과학기술원
|
노영민
|
062)715-3392
nym@gist.ac.kr
|
3
|
평판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공정 폐수로부터 친환경, 고효율 희토류 회수를 위한 고기능성 앱타머 복합체 개발
|
충북대학교
|
김양훈
|
043)261-3575
kyh@chungbuk.ac.kr
|
4
|
가스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대기오염 처리효율 평가 장치 개발 연구
|
대전대학교
|
김선태
|
042)280-2534
envsys@dju.ac.kr
|
5
|
압전 및 마찰 발전소자 성능향상 및 에너지변환과 저장소자응용
|
충남대학교
|
나정효
|
042)821-5655
jnah@cnu.ac.kr
|
6
|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위한 비요오드계 준고체 레독스 전해질 개발
|
상명대학교
|
강문성
|
041)550-5383
solar@smu.ac.kr
|
7
|
수처리 공정 및 자연수계에서 산화 및 광화학 반응에 의한 신종오염물질의 산화 변환: 반응속도, 산화반응 부산물 및 독성변화 연구
|
광주과학기술원
|
이윤호
|
062)715-2468
yhlee42@gist.ac.kr
|
8
|
재생 고체연료의 연소조건에 따른 유해가스와 수은의 배출특성 연구 및 수은 제어기술 개발
|
충북대학교
|
이상섭
|
043)261-2468
slee@chungbuk.ac.kr
|
9
|
중성 pH영역에서 활성화된 신개념 무기계 펜톤촉매의 개발 및 반응기작 연구
|
울산과학기술 대학교
|
이창하
|
052)217-2812
clee@unist.ac.kr
|
10
|
교차정렬된 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이용한 에너지저장용 전극개발
|
인하대학교
|
심상은
|
032)860-7475
seshim@inha.ac.kr
|
11
|
금속 도핑 이산화티타늄/폴리우레탄 흡착-광촉매의 개발과 병원 실내공기 중 유해성 오염물 제거연구
|
울산대학교
|
이병규
|
052)259-2864
bklee@ulsan.ac.kr
|
12
|
체감영상 및 위성영상을 이용한 시정 분석기술 개발
|
경주대학교
|
김경원
|
054)770-5390
kwkim@gju.ac.kr
|
? 사전연구과제
- ‘사전연구(1단계)’와 ‘사업화 집중연구(2단계)’로 구성되며 Test-bed 구축 관련 지자체 등과의 업무협약 문서는 사전연구단계에서 제출
구분
|
내용
|
사전연구
(1단계)
|
? 과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연구수행준비 및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지자체와의 부지활용 업무협약 등을 진행 수 있는 사전 연구(1개월 이내)를 수행하는 단계(당해 연도 협약기간 및 연구비에서 제외)
|
사업화 집중연구
(2단계)
|
? 1단계 사전연구 수행 간에 지자체와 체결한 업무협력과 관련된 협약을 바탕으로 기술의 실증화를 위한 본 연구 수행 단계
|
? 공공활용(Test-bed) 과제
- Test-bed 대상장소를 선정하여 신청하여야 하며, 과제 협약 시점까지 업무협약 등을 체결하여 관련 증빙서류 제출필수
5. 신청자격 및 제한
? 신청자격
-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제5조제1항에 해당하는 기관?단체 또는 사업자
※ 외국의 연구기관은 국내연구기관의 위탁연구에 참여 가능(단, KIST유럽연구소 등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해외지사인 경우 주관연구기관으로 신청가능)
· 공모내용의 주관기관 조건에 따라 지원하되,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수요자기반실증사업화과제통합형과제의 경우 총괄주관기관만 중소?중견기업에 한하며,
·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중소기업 우수기술 육성 실증화’ 분야의 경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응용연구단계 이후 성공통보를 받은 연구개발과제로서 중소기업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신청하여야 함
※ 대학 및 정부출연기관의 응용연구단계 성공과제는 중소기업에 기술이전 실시계약이 완료된 경우 신청가능
? 신청자격 제한
- 주관연구기관으로서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한지 1년 이내의 기업(다만 다음의 경우 제외)
· 벤처기업 확인서가 있는 경우
· 상호변경 등의 사유로 제한대상기업에 해당되는 경우(다만, 사업자등록증 또는 법인등기부상 기존 기업을 승계한 증빙자료를 제시할 경우 제외)
- 접수마감일 현재 수행기관 또는 참여기업이 국세, 지방세 등을 체납중인 경우
- 접수마감일 현재 연구책임자, 수행기관, 참여기업 또는 그 대표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기간 중인 경우
- 접수마감일 현재 환경기술개발사업 관련 기술료, 정산금 또는 환수금 미납, 최종보고서 미제출의 경우
- 신청된 기술개발계획이 환경기술개발사업 또는 타 부처 등에서 기 개발 또는 기 지원된 과제와 동일한 경우
※ 중복정보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관리시스템(http://ecoplus.keiti.re.kr)과 국가 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를 활용하여 기 수행 연구과제 검색가능
- 주관 또는 위탁연구기관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학회, 협회 등의 단체인 경우
- 총 연구과제 참여율이 100% 초과인 경우(다만,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등 인건비가 100% 확보되지 않는 기관에 소속된 연구원은 총 참여율 130% 초과인 경우)
- ERL과제의 경우 연구책임자(대학의 경우 전임강사 이상)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책임자로 5년 미만의 경험인 자, 사업 종료 시까지 소속기관에 정규직으로 재직이 보장되지 아니한 경우
- 접수마감일 현재 신청시점에서 동일인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참여자로 수행하는 과제 수가 아래의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
· 연구책임자로 동시에 수행하는 과제수가 3개 초과인 경우
· 연구자로 동시에 수행하는 과제수가 5개 초과인 경우
※ 신청마감일로부터 4개월 이내에 종료되는 과제는 과제 수에서 제외
※ 사전조사, 기획ㆍ평가연구 또는 시험ㆍ검사ㆍ분석에 관한 연구개발과제는 과제 수에서 제외
※ 세부과제의 조정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과제는 과제 수에서 제외
※ 중소기업과 비영리법인의 공동기술개발 과제로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별도로 정하는 연구개발과제는 과제 수에서 제외
※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별도로 정하는 금액 이하의 소규모 연구개발과제는 과제 수에서 제외
※ 위탁과제의 경우 제외(다만, 참여율은 합산함)
6. 지원범위
? 개발과제별 정부출연금은 참여기업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환경기술개발사업 운영규정[별표2] 참조)
7. 신청방법
? 사업안내서를 참고하여 연구개발계획서를 작성 후 신청서류와 함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관리시스템(http://ecoplus.keiti.re.kr)에 온라인 입력 및 제출
※ 연구개발계획서 중 웹페이지 입력사항은 작성시일이 다소 소요되므로 제출마감일 3일 전까지입력 권고
연구관리시스템 입력관련 문의 : 02-2284-1490, 1491
|
※ 사업제안요구서 및 사업안내서는 환경부 홈페이지(www.me.go.kr)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www.keiti.re.kr)의「공지사항」에서 세부내용 열람 가능
※ 통합형과제의 경우 총괄주관연구기관과 협동주관연구기관의 연구책임자가 각각 온라인 입력 및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8. 공고기간 및 문의처
? 공고기간 : '17. 2. 3(금) ∼ '17. 3. 6(월)
? 접수기간 : '17. 2. 27(월) ∼ '17. 3. 6(월) 17:00까지
? 문의처
- (우 03367) 서울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사업명
|
분 야
|
담당자
|
전화번호
|
팩스
|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
대기질개선 및 지구환경대응기술
|
권성안 전문위원
|
02-2284-1351
|
02-2284-1369
|
생활환경질 향상기술
|
에코공정 기반기술
|
박철 전문위원
|
02-2284-1361
|
위해성평가 관리 및 감축기술
|
한병현 전문위원
|
02-2284-1356
|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
|
지자체 Test-bed 실증화
|
손지호 전문위원
|
02-2284-1357
|
중소기업 우수기술육성 실증화
|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
상하수도정책 대응기술
|
최종인 전문위원
|
02-2284-1383
|
02-2284-1392
|
자연보전정책 대응기술
|
대기환경정책 대응기술
|
정인태 전문위원
|
02-2284-1386
|
자원순환정책 대응기술
|
9. 선정평가 절차 및 방법
? 환경기술개발사업 관련규정에 수록된 절차 및 방법에 따라 평가
- 단, 미래유망 녹색환경기술 산업화 촉진사업의 경우 전문가평가 시 표준발표 양식으로 평가하며 양식(한글)은 평가일정 통보 시 배포 예정
※ 성과혁신형 사업화과제의 평가·관리·협약 등은 「환경기술개발사업 성과혁신형 사업화과제 관리지침」(’16.5.27 제정)에 따름
10. 사업설명회 일정
? ‘17. 2. 13(월) 13:30∼16:00, 한국환경산업기술원(서울시 은평구) 대강당
※ 원내 주차장소가 협소하므로 사업설명회 당일 대중교통 이용 권장
※ 사업안내서 책자는 설명회 장소에서 당일 배포하며, 한국환경산업기술원(www.keiti.re.kr), 환경 R&D서비스센터(ecoservice.keiti.re.kr)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