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2022년 예산 확보를 위한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상시 기술수요조사 안내


2022년 예산 확보를 위한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상시 기술수요조사 안내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신규사업과 신규과제 발굴을 위한 상시 기술수요조사를 매년 1회 공고합니다.
경제.사회의 녹색전환을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을 뒷받침하고, 에너지기술의 경쟁력 제고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기술 제안을 요청드립니다.
연구자분들의 소중한 제안은 2022년 에너지기술발사업 신규예산 확보에 활용될 예정이오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2020년 9월 21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
기술수요조사 개요
(조사목적) 경제.사회의 과감한 녹색전환을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을 뒷받침하고 에너지기술의 경쟁력 제고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해,
산.학.연의 기술수요를 파악하여 에너지기술개발사업 후보과제 발굴에 참고하고 정부의 기술개발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조사대상)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전 분야
사조사대상 - 지원분야, 세부분야, 상세지원내용
지원분야 세부분야 상세지원분야
신재생 태양광
태양광 분야 고효율화, 단가저감, 신시장 발굴 등
풍력
핵심부품 국산화 및 경쟁력 강화 등
차세대(초대형, 부유식 등) 풍력 기술개발 및 실증
해상풍력 운송/설치/시공 기술개발 등
환경친화적 단지개발 및 운영 등
수소.연료전지
수소 분야 전주기(생산, 이송, 저장) 핵심부품 국산화 및 안전성, 경제성 확보 기술 등
연료전지 분야 기술 경쟁력 향상 및 경제성 확보 등
재생열/바이오
재생열(태양열, 지열, 수열), 바이오/폐기물 분야
수력/해양 등
수력(양수, 소수력), 해양 등 기타 신재생에너지분야
에너지효율/수요관리 에너지효율/ 수요관리
산업/건물/수송 등 소비 부문 에너지다소비 기기와 공정의 에너지 고효율화
커뮤니티 단위의 에너지 수요관리, 에너지 데이터 활용 플랫폼 등
온실가스처리
온실가스 포집, 저장, 수송, 활용 등
ESS
리튬, 나트륨, 바나듐 계열 등
에너지안전
가스(수소포함), 전기, 열, ESS시설 등 재해, 안전사고 감소
청정화력/원자력 청정화력
가스터빈 기술, 고효율화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혁신/신개념 발전기술 등
발전효율 향상, 배출 가스 감축,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부품/소재 성능향상 및 국산화개발 등
원자력
원전안전 및 선진화, 원전설비 및 운영성능, 원자력환경 및 해체 등
방사성폐기물관리
사용후핵연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등
스마트 그리드
지능형송배전, 지능형소비자, 전기기기기술, DC송배전 등
전력기반 조성
전력 정보화 및 정책
에너지신기술표준화 등
자원개발/순환 자원개발
석유.가스 등 전통/비전통자원의 탐사.개발
금속.비금속 광물자원개발을 위한 탐사.평가.생산 기술개발
자원순환
도시광산 개발, 고가금속 대체 기술 등
에너지 및 자원 이용효율 개선을 위한 재제조 등
에너지분야 글로벌기업 육성을 위한 핵심부품.소재.장비 등
기술사업화 에너지벤처 육성
에너지-ICT 융합 제품.솔루션
에너지산업 부품.소재 및 제조혁신 기술
에너지수용성제고
지역에너지 현안 해결
사회혁신형 에너지기업(소셜벤처 등) 역량 강화
국제협력
에너지기술선도 국제공동연구, 글로벌 시장개척 국제 공동연구 등 에너지기술 전분야
에너지인력양성
에너지전환 산업 맞춤형 인재양성
미래 에너지융합 인재양성
에너지신산업 글로벌 인재양성
글로벌 에너지 정책 전문가 양성
※ 상기 지원분야는 사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조사항목) 제안 기술주제의 개요(제안기술명, 기술분류, 수요조사 항목), 제안기술의 개발목표 및 내용(제안기술개발 규모, 개발목표, 개발내용,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기술사업화 및 에너지인력사업은 개별 수요조사서 양식 사용
접수방법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사업관리시스템(http://genie.ketep.re.kr) → 과제기획 → 수요조사 →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상시 기술수요조사
[첨부] 기술수요조사양식을 다운받아 작성 후, 기본 정보 입력과 함께 수요조사서 파일(hwp)을 업로드
기술수요조사 작성 시 유의사항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신규 지원대상에 대한 기술개발 과제의 수행기관은 별도 공모를 거쳐 선정하고 있습니다.
접수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으며, 2022년 예산 확보를 위한 사업기획 또는 과제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로만 활용됩니다.
금번 수요조사는 신규지원 후보과제 발굴을 위한 의견 수렴으로 이의신청 절차는 없으며, 기획반영결과는 회신하지 않습니다.
제안 사항의 검토.활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출된 내용을 관련 전문가 등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제3자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기술수요조사서에 세계최초 및 원천기술인 경우에는 ‘원천기술’을 선택해 주시고, 제품화 및 실증연구인 경우에는 ‘시장진입’을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술수요조사서에 동종분야 기존기술대비 진보성(예: 텐덤형 Si 태양전지로써 미국 벨연구소보다 효율 3%P 개선, 수명 2배 개선)과 이종분야 경쟁기술 대비 우수성(예: 수소 가스터빈 대비 제안한 수소연료전지가 경제성 2배 우수) 등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양극형 연구개발 강화에대한 설명
양극형 연구개발 강화 First-mover로 전환하기 위해서, 세계최초 아이디어 (원천기술성)이거나 글로벌시장 경쟁력이 있는(시장진입성) 과제 중심으로 기획
제안기술에 대해 경제.사회의 녹색전환을 추진하는 그린뉴딜 정책*과의 연관성 검토를 포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7.14 발표) 등 그린뉴딜 관련자료 참조
문의처
기술분야별 관련 문의
기술분야별 관련 문의 - 지원분야, 연락처(☎ 02-3469-0000), 평가원 담당부서
지원분야 연락처
(☎ 02-3469-0000)
평가원 담당부서
신재생 태양광 8335 신재생기획실
풍력 8336
수소 8333
연료전지 8337
바이오/폐기물 8338
양수/소수력 등 8334, 8336, 8338
에너지효율/수요관리 에너지효율/수요관리 8348 신산업기획실
온실가스처리 8348
ESS 8343
에너지안전 8349
자원개발/순환 자원개발 8344
자원순환 8347
청정화력/원자력 청정화력 8351, 8353 청정전력기획실
원자력 8359
방사성폐기물관리 8356
스마트그리드 8497
전력기반조성 8497
기술사업화 에너지벤처육성 8421 기술사업화실
에너지수용성제고 8422
국제협력 8432 국제협력실
에너지인력양성 8442 인적자원실
전산 등록 관련 문의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GENIE운영팀(☎ 02-3469-8813~4)
기타 고객만족 콜센터
기타 고객만족 콜센터 - 고객센터 서비스, 연락처
고객센터 서비스 연락처
에너지 R&D 전화상담 서비스 1899-0784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