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2021년 동물용의약품 안전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잔류성 시험분석_재공고

발주처

농림축산식품부

국가

분야

농림수산식품,생명과학

접수기간

2021-04-02 ~ 2021-04-06


1. 사업개요
가. 사 업 명: 동물용의약품 안전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잔류성 시험분석
나. 사업기간: 계약일로부터 ?21.12.10.까지
다. 소요예산: 3,390백만원(VAT 포함)
- 총액 산출근거: 65.1백만원×52품목
※ 예산범위내에서 52품목에 대한 잔류성 시험분석 지원
라. 계약방법: 일반경쟁(협상에 의한 계약)
마. 사업자선정: 일반(총액)협상에 의한 계약

2. 추진계획
가. 사업목적
□ 축산물 PLS 시행에 대비하여 동물용 의약(외)품의 안전사용기준 및 잔류허용기준 설정 등 안전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잔류성 시험분석 수행
○ 잔류성 시험분석을 민간 기관(대학, 연구소 등)에 위탁하고 시험비용 지원
나. 사업범위 및 주요내용
□ (과제명) 동물용의약품 안전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잔류성 시험분석
○ 동물용의약품 잔류성 확인을 위한 알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동물용의약품 휴약기간 설정을 위한 우유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동물용의약품 휴약기간 설정을 위한 닭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동물용의약품 휴약기간 설정을 위한 돼지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수행기관) 민간 기관(공동수급)
※ 공동수급체를 구성하여 공동수급협정서를 전자적으로 제출해야 함(공고문 참조)
□ (수행기간) 10개월 이내
□ (수행내용)「동물용의약품등 잔류성 시험지침(검역본부고시)」에 따라 잔류성 시험 수행
□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잔류성 시험 결과보고서 및 휴약기간 등 안전사용기준 제안

3. 세부 과업내용
가. 동물용의약품 안전관리기준 마련을 위한 잔류성 시험분석
* 대표품목은 시험설계 과정에서 변경 가능
□ 동물용의약품 잔류성 확인을 위한 알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세부1) 레바미졸(경구) 1품목, 린코마이신(사료) 1품목, 린코마이신/스펙티노마이신(사료, 음수) 2품목과
○ (세부2) 네오마이신(사료, 음수) 2품목, 바시트라신(사료) 1품목과
○ (세부3) 사이로마진(사료) 1품목, 아목시실린(사료 또는 음수) 1품목,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음수) 1품목, 타이로신(음수) 1품목과
○ (세부4) ADBAC(축체) 1품목, DDAC(축체) 1품목의 잔류성 시험
□ 동물용의약품 휴약기간 설정을 위한 우유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세부5) 네오마이신(사료, 음수) 2품목과
○ (세부6) 레바미솔(경구) 1품목, 펜벤다졸(사료) 2품목, 알벤다졸(경구) 1품목과
○ (세부7) 톨페남산(정맥, 근육) 2품목, 플루메타손(피하) 1품목, 린코마이신/스펙티노마이신(근육) 1품목과
○ (세부8) 이버멕틴(외피도포) 2품목, 에프리노멕틴(외피도포) 1품목의 잔류성 시험
□ 동물용의약품 휴약기간 설정을 위한 닭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세부9) 암프롤리움(음수) 1품목, 암프롤리움/에토파베이트(음수) 1품목, 티아물린 (사료 2, 음수) 3품목과
○ (세부10) 디클라주릴(사료, 음수) 2품목, 레바미솔(경구) 1품목, 사이로마진(사료) 1품목,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음수) 1품목과
○ (세부11) ADBAC(축체), DDAC(축체) 각 1품목의 잔류성 시험
□ 동물용의약품 휴약기간 설정을 위한 돼지에서의 잔류성 시험분석
○ (세부12) 설피린(근육) 2품목, 톨페남산(근육) 1품목, 프레드니솔론(근육) 1품목과
○ (세부13) 레바미솔(경구) 1품목, 톨트라주릴(경구) 1품목, 티아물린 (사료 2, 음수) 3품목,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사료, 음수) 2품목, 콜리스틴(사료) 1품목과
○ (세부14) ADBAC(축체) 1품목, DDAC(축체) 1품목의 잔류성 시험
나. 과제 수행방법
□ 시험계획서는「동물용의약품등 잔류성 시험지침(검역본부고시)」에 따라 작성
□ 잔류성 시험분석 수행 시에는 「동물용의약품등 비임상시험실시기관 지정에 관한 규정(검역본부고시)」의 비임상시험 관리기준을 준수
다. 사업성과 및 활용방안
□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잔류성 시험 결과보고서 작성?제출
□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휴약기간 등 안전사용기준 제안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 바로가기(URL)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