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
산업체공동연구 참여기관 공모
|
<o:p></o:p>
<o:p></o:p>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 공동연구사업 관리규정(농림축산검역본부 예규 제138호) 제7조(공동연구개발계획의 수립 및 공모)에 따라, 2022년도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 산업체공동연구에 참여할 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합니다.
<o:p></o:p>
2021. 11. 29
<o:p></o:p>
농림축산검역본부장
<o:p></o:p>
<o:p></o:p>
사업목적
-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 공동연구사업관리규정에 따라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산업체와
공동으로 출자하고 연구에 직접 참여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과제의 시행
공고 및 접수기간: 2021. 11. 29.(월) ~ 12. 10.(금)
공고 규모: 2022년도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 산업체공동연구 총 6과제
<o:p></o:p>
- ’22년도 산업체공동연구과제 목록
번호
|
과제명
|
추진
부서
|
연구기간
|
산업체 연구목표/내용
|
산업체 출자 연구비
(백만원)
|
1
|
미국부저병 및 노제마증에 효과적인 생균제 산업화
|
세균질병과
|
3년
(‘22~‘24)
|
ㅇ 실험실내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실험실내 안전성 시험
· 투여후 애벌레 생존율 및 봉군 건강상태 조사
-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실험실내 유효성 시험
· 실험실내 인공감염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생균제 효능 조사
(미국부저균과 노제마균에 대한 생균제의 억제효능 평가)
ㅇ 야외봉장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 야외확대적용시험 및 문제점 개선
- 안정성시험
ㅇ 적용법 결정 및 대량생산법 확립
- 용법 및 용량 결정 시험
· 야외봉장적용시험을 통해 최적 용법 및 용량 결정
- 시제품 제조
· 용량 및 용법이 최적화된 시제품 생산
- 대량생산법 확립
- 대량생산라인 구축
|
240
|
2
|
친환경 꿀벌응애 구제제 산업화
|
세균질병과
|
3년
(‘22~‘24)
|
ㅇ 실험실내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실험실내 안전성 시험
· 투여후 애벌레 생존율 및 봉군 건강상태 조사
-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실험실내 유효성 시험
· 실험실내 인공감염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구제제 효능 조사
- 적정용량 및 용법 선정 시험
· 실험실내 평가를 통한 적정 용량 및 용법 선정
ㅇ 야외봉장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 야외적용 평가 검정법 확립
· 꿀벌응애 감염 봉장 적용 시험 :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 적정 용량 및 용법 선정, 안정성 시험
· 야외적용시험을 통해 적정 용량 및 용법 조정
ㅇ대량생산라인 구축 및 봉장 확대 적용
- 용법 및 용량 최종 확인 시험
· 실험실내 애벌레 및 성봉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 시제품 제조
· 용량 및 용법이 최적화된 시제품 생산
- 대량생산법 확립
- 대량생산라인 구축
|
240
|
3
|
반도체 바이오센서기술기반 구제역 특이 신속정량 PCR 진단기술 개발
|
구제역
진단과
|
2년
(‘22~‘23)
|
ㅇ 반도체 바이오센서 기술기반 구제역 유전자 정량 PCR을 위한 Digital PCR법 개발
ㅇ 반도체 바이오센서 기술기반 구제역 혈청형 및 유전형 특이 진단용 multiplex PCR법 개발
|
387
|
4
|
돼지 설사 3종 바이러스 치료용 고도면역혈청제제 산업화 연구
|
바이러스
질병과
|
2년
(‘22~‘23)
|
ㅇ 돼지유행성설사병(PED), 돼지로타바이러스(PRoV) 및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 치료용 고도면역혈청제제 개발 및 산업화
|
160
|
5
|
신규 PCV2d 유전형에 대한 항원 및 항체 진단법 개발
|
바이러스
질병과
|
2년
(‘22~‘23)
|
ㅇ PCV2d 재조합단백질 기반 진단킷트 개발
ㅇ PCV2d 항원 진단킷트 개발
ㅇ PCV2d 단클론항체 진단액 제작
|
160
|
6
|
가성우역 신속 유전자 및 항체 진단 기술 개발
|
해외
전염병과
|
2년
(‘22~‘23)
|
ㅇ 가성우역 신속 유전자 진단기술 개발
ㅇ 가성우역 항체진단 기술 개발
|
95
|
<o:p></o:p>
2
|
<o:p></o:p>
|
응모자격 및 사업 추진,선정 절차
|
응모자격
번호
|
과제명
|
응 모 자 격
|
비고
|
1
|
미국부저병 및 노제마증에 효과적인 생균제 산업화
|
ㅇ 양봉용 의약품 또는 사료첨가제 연구개발실적 또는 판매실적이 있을 것
ㅇ 생균제 대량 배양, 정제, 농축 기술 및 관련 시설을 보유하고 있거나 연계생산이 가능할 것
ㅇ 생균제의 안정성, 유효성, 안전성 및 목적동물에 대한 효능 평가 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것
ㅇ 생균제의 안정적인 품질관리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것
ㅇ 심의회에서 적격업체로 평가된 업체와 공동연구 수행
|
<o:p></o:p>
|
2
|
친환경 꿀벌응애 구제제 산업화
|
ㅇ 양봉용 의약품 또는 사료첨가제 연구개발실적 또는 판매실적이 있을 것
ㅇ 친환경 꿀벌응애 구제제 성분의 대량 생산, 정제, 표준화 기술 및 관련 시설을 보유하고 있거나 연계생산이 가능할 것
ㅇ 친환경 꿀벌응애 구제제의 안정성?유효성?안전성 및 목적동물에 대한 면역 효능 평가 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것
ㅇ 친환경 꿀벌응애 구제제의 안정적인 품질관리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것
ㅇ 심의회에서 적격업체로 평가된 업체와 공동연구 수행
|
<o:p></o:p>
|
3
|
반도체 바이오센서기술기반 구제역 특이 신속정량 PCR 진단기술 개발
|
ㅇ 반도체 바이오센서 기술 보유
ㅇ 현장 및 실험실 적용이 가능한 portable 분석기기 및 반도체 바이오센서 기술 접목 digital PCR용, multiplex-PCR용 카트리지 개발 기술 보유
ㅇ 산업화를 위한 진단키트의 대량 생산 기술 보유
|
<o:p></o:p>
|
4
|
돼지 설사 3종 바이러스 치료용 고도면역혈청제제 산업화 연구
|
ㅇ 고도면역혈청제제 생산 및 산업화 기술 보유
ㅇ 고도면역혈청에 대한 접종방법 및 평가방법 보유
ㅇ 돼지 설사 바이러스들에 대한 포유자돈 공격접종 및 방어능 효과 평가 실험기술 보유
ㅇ 돼지실험을 위한 실험농장 보유 및 실험 동물사 시설 보유 (계약 포함)
|
<o:p></o:p>
|
5
|
신규 PCV2d 유전형에 대한 항원 및 항체 진단법 개발
|
ㅇ 베큘러바이러스 등 재조합단백질 생산, 정제 및 농축 기술 보유
ㅇ 돼지써코바이러스 2형 (PCV2d 야외주) 세포배양기술 보유
ㅇ 항원, 항체 진단키트 생산 및 평가 능력 보유
ㅇ 심의회에서 최고점수로 평가된 단일업체와 공동연구 수행
|
<o:p></o:p>
|
6
|
가성우역 신속 유전자 및 항체 진단 기술 개발
|
ㅇ 동물 전염병 병원체 유전자 진단 기술개발 보유
ㅇ 동물 전염병 병원체 항원에 대한 대량 정제 및 농축 기술 보유
ㅇ 동물 전염병 병원체 진단기술 산업회 기술 보유
ㅇ 심의회에서 최고점수로 평가된 단일업체와 공동연구 수행
|
<o:p></o:p>
|
<o:p></o:p>
<o:p></o:p>
추진 및 선정절차
<o:p></o:p>
ㅇ 신청서류 제출
- 해당 산업체공동연구를 신청하고자 하는 자는 제안요청서를 참고하여 공문처리된 제출서류
(참여신청서, 심사자료)를 우편 또는 이메일로 제출(우편의 경우 공모기간 내에 접수된
것에 한함)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8로 177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기획과 산업체공동연구 담당자(우편번호: 39660)
- e-mail: choibk@korea.kr
<o:p></o:p>
ㅇ 선정방법: 비대면 온라인평가(12월 중)
- 내·외부 평가위원으로 구성된 공동연구사업심의회의 평가 결과,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산업체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 평가점수는 최고점·최저점을 제외한 평균점수임
- 평가점수가 동일한 경우, 평가항목 중 배점이 높은 항목의 고득점 순으로 선정
※ 평가방법 및 평가회 상세일정 등은 추후 개별통보
<o:p></o:p>
<o:p></o:p>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선정된 산업체는 공동연구협약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이때 해당 과제 제안부서(자)와 함께 작성한
‘산업체공동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함
<o:p></o:p>
신청,선정절차 관련: 연구기획과 최병국 연구사(☎054-912-0712)
<o:p></o:p>
과제 관련
- 세균질병과 조윤상 연구관(☎054-912-0743)
- 세균질병과 유미선 연구사(☎054-912-0744)
- 구제역진단과 차상호 연구관(☎054-912-0774)
- 바이러스질병과 안동준 연구관(☎054-912-0795)
- 바이러스질병과 강석진 연구사(☎054-912-0806)
- 해외전염병과 신연경 연구관(☎054-912-08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