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28
org.kosen.entty.User@320b17df
운영자(kosenadmin)
발주처
산업통상자원부
국가
분야
에너지/자원,기타
접수기간
2022-01-20 ~ 2022-02-24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2-55호
2022년도 제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대상과제 공고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2022년도 제1차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해당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관련규정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1월 20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사업목적
탄소중립 시대 실현과 그린뉴딜 사업을 위한 기술개발 추진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및 기간
(단위 : 억원, 개)
지원분야 | 세부사업명 | 지원예산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
대상연구개발과제 | |
---|---|---|---|---|
에너지효율 |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 | 에너지효율혁신 | 103 | 4 |
수요관리기반 | 89 | 4 | ||
재생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사업 | 태양광 | 102 | 4 |
풍력 | 160 | 5 | ||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구축사업 | 27 | 1 | ||
해상풍력 수산업 환경 공존 기술개발사업 | 10 | 1 | ||
태양열 융복합 산업공정열 이용 기술 개발사업 | 20 | 1 | ||
태양열(광)기반 가축분뇨 고형연료 제조 및 이용다변화 기술개발사업 | 5 | 1 | ||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부문간 연계(섹터커플링) 기술개발사업 | 57 | 3 | ||
수소에너지 |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 | 수소 | 230 | 13 |
연료전지 | 124 | 10 | ||
액체수소 충전소용 저장용기 및 수소공급시스템 기술개발 및 운영실증사업 | 43 | 1 | ||
에너지안전 | 액화수소충전핵심부품및 시설안전개발사업 | 45 | 4 | |
스마트그리드 | 신재생에너지연계 해상변전소용 핵심 전기기기 기술개발사업 | 50 | 1 | |
지능형전력망 표준기술 고도화사업 | 16 | 3 | ||
청정화력 | 재생에너지 확대 대응 전력계통 관성자원 기술개발사업 | 28 | 3 | |
가스터빈부품 제조기업 기술역량강화 및 품질, 신뢰성지원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사업 | 49 | 5 | ||
CCUS | 시장선도형 CCU 전략제품 생산기술 실증사업 | 66 | 5 | |
CO2 해양지중저장 상용화 핵심기술개발사업 | 72 | 2 | ||
자원개발 | 신산업 맞춤형 핵심광물 개발.활용 기술개발사업 | 32 | 4 | |
자원순환 | 에너지저감공정촉매재자원화기술개발사업 | 34 | 4 | |
재생자원의 저탄소 산업원료화 기술개발사업 | 43 | 6 | ||
저탄소 고부가 전극 재제조 혁신기술개발사업 | 28 | 1 | ||
원자력 | 원전 안전운영을 위한 핵심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 50 | 5 | |
공공R&D | 공공에너지선도투자및신산업창출지원사업 | 13 | 3 | |
인력양성 | 에너지인력양성사업 | 75 | 12 | |
계 | 1,571 | 106 |
공모방식 | 지원규모 | 지원기간 |
---|---|---|
지정/품목/자유 |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분야별 예산 참조) |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상이 (RFP/기술개요서 참조) |
대상 연구개발과제수는 “지정공모/품목지정/자유공모” 지원 연구개발과제수임.
지원예산은 정부지원연구개발비에 한함(공기업협력과제의 공기업 투자금 미반영)
사업별 예산규모, 기술정책방향 및 평가결과 등에 따라 지원 예산 및 연구개발과제 수 변동 가능
협약체결은 전체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협약이 원칙이며, 필요한 경우 단계구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협약 체결
인력양성사업의 지원 관련 사항은 [붙임7]을 참고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
일반형 연구개발과제
※ 실증형R&D는「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평가관리지침」을 따름
※ 평가결과에 따라 연구개발비 및 수행기간 등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조정 가능함
※ 자세한 연차별 수행기간은 “신청용 연구개발계획서의 수행기간(연차) 산정” 참조하고, 별도 설명이 없는 연구개발과제*의 1차년도 수행기간은 9개월임
※ 협약체결은 전체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협약이 원칙이며, 총수행기간이 4년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로 구분하여야 함(총 수행기간이 4년을 초과(5년 이상)하는 경우 1년에서 4년 단위로 단계를 구분)
※ 기업(중소중견 등), 연구소 등 참여가 필수인 연구개발과제는 연구개발과제별 RFP 및 기술개요서에 명시됨
※ 상기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과 관련된 사항은 “9. 기타유의사항”을 참조
※ 연구개발과제별 실시간 경쟁률은 사업관리시스템(http://genie.ketep.re.kr)-과제신청-지원분야-과제목록보기 메뉴에서 확인 가능
※ 복수지원 과제(과제수) : 건물형 태양광 모듈 급속차단 기능과 이용률 개선을 위한 모듈단위전력전자(MLPE) 장치개발 및 실증(2), DC 그리드 에너지혁신연구센터(2), 초대용량 풍력발전시스템 혁신연구센터(2), 지역에너지클러스터인재양성(2)
통합형 연구개발과제
※ 실증형R&D는「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평가관리지침」을 따름
※ 평가결과에 따라 연구개발비 및 수행기간 등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조정 가능함
※ 자세한 연차별 수행기간은 “신청용 연구개발계획서의 수행기간(연차) 산정” 참조하고, 별도 설명이 없는 연구개발과제*의 1차년도 수행기간은 9개월임
※ 협약체결은 전체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협약이 원칙이며, 총수행기간이 4년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로 구분하여야 함(총 수행기간이 4년을 초과(5년 이상)하는 경우 1년에서 4년 단위로 단계를 구분)
※ 기업(중소중견 등), 연구소 등 참여가 필수인 연구개발과제는 연구개발과제별 RFP 및 기술개요서에 명시됨
※ 상기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과 관련된 사항은 “9. 기타유의사항”을 참조
자유공모 연구개발과제
세부 사업명 | 분야 | 주제명 | 주관연구 개발기관 |
연구개발 과제유형 |
지원예산 | 비 고 | 다운 로드 |
|
---|---|---|---|---|---|---|---|---|
나 | 다 | |||||||
신재생 에너지핵심 기술개발사업 |
수소 | 수소충전소 및 액화수소 관련 부품.장비.소재 개발 | 기업 | 혁신 제품 |
자유 공모 |
과제당 6억원 내외 (3년이내) |
- 수소전문기업 참여 필수 - 예산 사정에 따라 복수지원가능 - 1차년도 예산 과제당 2억원 내외 |
|
연료 전지 | 발전용 연료전지 고도화를 위한 핵심부품 개발 |
※ 평가결과에 따라 연구개발비(연구비) 및 총 수행기간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조정 가능함
※ 자세한 연차별 수행기간은 “신청용 연구개발계획서의 수행기간(연차) 산정” 참조하고, 별도 설명이 없는 연구개발과제*의 1차년도 수행기간은 9개월임
※ 상기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과 관련된 사항은 “9. 기타유의사항”을 참조
신청방법 및 제출기한
구분 | 품목지정, 지정공모, 자유공모 |
---|---|
신청방법 |
- 계획서(필수서류) 및 첨부서류 온라인 일괄 접수 -
*오프라인(방문) 서류제출 불필요 |
공고기간 | ’22.1.20.(목) ~ 2.24.(목) 까지 |
신청 기간 및 관련 양식 교부 |
신청기간
’22.1.20.(목) ~ 2.24.(목) 18:00 까지 |
계획서 (필수서류) 및 첨부서류 온라인 접수 |
계획서(필수서류) 및 첨부서류 접수 기간
: ’22.1.20.(목) ~ 2.24.(목) 18:00 까지 전산등록과 동시에 첨부 서류를 온라인으로 접수
접수마감시간 엄수 요망
|
전산 등록처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사업관리시스템(http://genie.ketep.re.kr) → 온라인사업관리에서 연구개발과제접수(주관연구개발기관이 전산 등록)
※ 전산 등록 시에는 주관연구개발기관의 연구책임자가 로그인하여 전산등록(http://genie.ketep.re.kr 회원가입 필요)
※ 접수된 서류 및 연구개발계획서 등이 허위, 위?변조,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 일반형 연구개발과제는 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가 전산접수
※ 통합형 연구개발과제는 총괄주관연구개발기관 연구책임자가 전산접수를 완료한 경우에만 세부주관연구개발기관이 전산 접수 가능
사업설명회
목적 : ’22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방법, 절차 안내 및 사업참여와 관련된 규정 등을 안내
개최 개요 : E-Tech 컨퍼런스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한 후 공고기간 동안 게시
[ E-Tech 컨퍼런스 주요 일정 ]
시 간(안) | 1/26(수) | 비고 |
---|---|---|
10:00 ~ 11:30 | 사업설명회 | 분야별 PD |
13:30 ~ 15:00 | 기조강연 (탄소중립, 수소연료전지, AI 융복합 기술) |
윤순진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장 이해원 두산 부사장 박세현 중앙대 교수 |
15:00 ~ 16:30 | 연구발표회 (대형.중장기 계속과제 성과 발표, 5과제) |
|
16:30 ~ 17:30 | 연구기관 세션 (에기연, 전기연, 기계연, KIST, 전자연) |
상기 개최 일정 및 장소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온라인 설명회 개최(안)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별도 안내 예정
상세 내용 및 관련양식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홈페이지(www.ketep.re.kr) 정책과 소식(사업공고) 또는 사업관리시스템(http://genie.ketep.re.kr) 참조
연구개발계획서
전산 등록 관련 문의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GENIE운영팀(☎ 02-3469-8813~4)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GENIE운영팀(☎ 02-3469-8813~4)
연구개발과제/접수?평가 관련 문의
세부사업명 | 담당부서 | 연구개발과제 (RFP/기술개요서) 문의 |
신청자격.접수.평가 문의 |
|
---|---|---|---|---|
연락처 (☎ 02-3469-0000) | 연락처 (☎ 02-3469-0000) | |||
에너지수요관리 핵심기술개발사업 | 에너지효율혁신 | 수요관리실 | 8336 | 8334, 8332 |
수요관리기반 | 8333 | 8334, 8332 | ||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사업 | 태양광 | 재생에너지실 | 8326 | 8329, 8323 |
풍력 | 8325 | 8327, 8324 | ||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구축사업 | 8321 | 8323 | ||
해상풍력 수산업 환경 공존 기술개발사업 | 8325 | 8324 | ||
태양열 융복합 산업공정열 이용 기술 개발사업 | 8325 | 8327 | ||
태양열(광)기반 가축분뇨 고형연료 제조 및 이용다변화 기술개발사업 | 8326 | 8329 | ||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부문간 연계(섹터커플링) 기술개발사업 | 8321 | 8328 | ||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 | 수소 | 수소에너지실 | 8341 | 8344 |
연료전지 | 8342 | 8345 | ||
액체수소 충전소용 저장용기 및 수소공급시스템 기술개발 및 운영실증사업 | 8341 | 8344 | ||
액화수소충전핵심부품및 시설안전개발사업 | 8342 | 8343 | ||
신재생에너지연계 해상변전소용 핵심 전기기기 기술개발사업 | 전력혁신실 | 8372 | 8885 | |
지능형전력망 표준기술 고도화사업 | 8378 | 8885 | ||
재생에너지 확대 대응 전력계통 관성자원 기술개발사업 | 8375 | 8885 | ||
가스터빈부품 제조기업 기술역량강화 및 품질, 신뢰성지원 인프라 구축 기술개발사업 | 8377 | 8374 | ||
시장선도형 CCU 전략제품 생산기술 실증사업 | 온실가스감축실 | 8412 | 8413 | |
CO2 해양지중저장 상용화 핵심기술개발사업 | 8412 | 8413 | ||
신산업 맞춤형 핵심광물 개발.활용 기술개발사업 | 자원전략실 | 8394 | 8391 | |
에너지저감공정촉매재자원화기술개발사업 | 8393 | 8395 | ||
재생자원의 저탄소 산업원료화 기술개발사업 | ||||
저탄소 고부가 전극 재제조 혁신기술개발사업 | ||||
원전 안전운영을 위한 핵심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 원전혁신실 | 8382 | 8388 | |
공공에너지선도투자및신산업창출지원사업 | 공공R&D 혁신센터 | 8211 | 8211 | |
에너지 인력양성 사업 | 융합대학원 | 인력양성사업실 | 8457 | 8457 |
혁신연구센터 | 8455 | 8455 | ||
지역에너지클러스터 | 8453 | 8453 | ||
중견기업 특화 | 8454 | 8454 | ||
에너지산업 기술인력 실태조사 | 8451 | 8451 |
상기 연락처는 변경될 수 있음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과제 공고에 대한 기타 문의 (고객만족 콜센터)
고객센터 서비스 | 연락처 |
---|---|
에너지 R&D 전화상담 서비스 | 1899-0784 |
[첨부파일]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2-55호) 2022년도 제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대상과제 공고문.hwp
- [별첨] 2022년도 에너지인력양성 프로그램별 세부 지원내용.hwp
- 1. 2022년 제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공고 신규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기획보고서.zip
- 2. 2022년도 제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기획참여전문가 명단(최종).pdf
- 3.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21.1)에 따른 용어안내.pdf
- 4. 2022년도 1차 공고 신청서식.zip
- 5. [GENIE]전산접수매뉴얼(2022.01.19)(연구개발계획서).pdf
- 6. (첨부) 수요기업 확약서(예시 우대가점 증빙 서류).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