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공고

발주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

분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접수기간

2022-02-28 ~ 2022-03-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2022 - 0150

<o:p></o:p>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지원공고

<o:p></o:p>

<o:p></o:p>

<o:p></o:p>

 

<o:p></o:p>

기초연구성과를 활용한 기술창업 및 사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은 관련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o:p></o:p>

20222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o:p></o:p>

1. 과학벨트 지원사업 사업목적

<o:p></o:p>

수요맞춤형 기술이전, 창업 등 과학사업화 전주기 생태계 조성을 통해 과학사업화 추진 및 역동적인 혁신성장 실현

<o:p></o:p>

수요기반 기술발굴이전 연계사업화(제품화 및 기술창업)기업 혁신성장 수요맞춤형 전주기 과학사업화 선순환 구축으로 지역발전과 고급 일자리를 창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 세계 수준의 기초연구 환경 조성, 기초연구와 비즈니스 간 융합·발전을 목적으로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를 연계한 벨트 육성

- 거점지구(대전 신동·둔곡·도룡)는 기초과학 연구 수행, 글로벌 정주환경 및 산업기반 조성

- 기능지구(세종시, 청주시, 천안시)는 거점지구와 연계해 응용·개발연구 및 사업화 수행

 

<o:p></o:p>

2. 과학벨트 지원사업 2022년 추진 방향

<o:p></o:p>

양방향(공급중심형, 수요중심형) 기술사업화 유망기술 발굴을 통해 수요기업에게 유망기술을 연계하여 드립니다.

<o:p></o:p>

(기술-수요 발굴연계) 과학벨트 및 연구개발특구가 보유한 사업화 유망기술의 발굴 체계 운영을 통한 수요기업의 기술 활용(이전출자창업) 지원

<o:p></o:p>

- 과학벨트 및 특구 내 공공연구기관(IBS, 출연(), 대학, 전문() )과 협력하여 사업화 유망기술 상시 발굴 체계를 구축하고, BM 제작 등 기술 마케팅을 통한 기술이전 도모

<o:p></o:p>

기업이 이전받은 기술의 R&BD 등 사업화 과정을 지원합니다.

<o:p></o:p>

(기술이전사업화) 기술사업화 관련 사전 검증(BM수립)이 완료되고 과학벨트 및 특구 공공기술을 이전 받은 과학벨트 소재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개발·양산화 관련 R&BD 지원

<o:p></o:p>

창의적 아이디어가 과학벨트 내에서 창업으로 연결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디딤돌을 제공합니다.

<o:p></o:p>

(창업·성장지원) 과학벨트 내 대학의 혁신자원을 활용해 창의 아이디어 발굴·검증, 멘토링, 수요기술 매칭 등을 통한 기술창업 활성화 추진

<o:p></o:p>

(투자유치 지원) 과학벨트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외부 투자유치 활동(·간접 투자, IR, 데모데이 등)을 지원

<o:p></o:p>

(창업교류 공간 운영) 기능지구 내 개방형 창업교류 공간(Biz-Conncet Center) 운영을 통하여 컨설팅, 사업연계 지원, 입주공간 제공 등 창업 생태계 조성

<o:p></o:p>

과학벨트 내 기업들의 후속 성장을 위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진출 기회를 마련하겠습니다.

<o:p></o:p>

(수요맞춤형 성장 지원)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한 제품제작, 판로개척, 시험인증·분석, M&A, IPO 등 기업 후속 성장맞춤 패키지 지원

<o:p></o:p>

(글로벌 진출 지원)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과학벨트 기업 대상으로 기업의 글로벌 역량 컨설팅, 글로벌 교류 활성화 등 기업 수요맞춤 해외 진출 지원

<o:p></o:p>

과학벨트 지역특화분야에 기반한 맞춤형 실무인재를 육성하고자 합니다.

<o:p></o:p>

(산학연계 인력양성) 과학벨트 및 미래성장 수요를 발굴·해결하기 위하여 산학연계 인력양성 체계를 구축하여 핵심인재 육성

<o:p></o:p>

과학벨트의 자생적 기술사업화 혁신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습니다.

<o:p></o:p>

(과학벨트 R&D 연구회 운영) 과학벨트 내 혁신기관과 산··연이 미래 특화산업을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 연계하여 협업과제 신규기획 및 운영

3. 세부 분야별 지원대상 및 규모, 접수방법

 

아래내용은 세부분야별 지원내용의 요약정보이며, 신청관련 자세한 사항(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등)은 붙임의 세부 시행계획을 확인하시고 내용에 맞게 신청 바랍니다.

 

<o:p></o:p>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통합 공고

 

N

사업명

지원 대상

예산

(백만원)

지원 내용

1

기술

이전

사업화

기술이전

R&BD

과학벨트 및 특구 내 공공연구기관으로부터 기술을 이전 받은 기업

2,400

신제품·신사업 진출을 위한 R&BD(제품화·양산화) 과제 지원

2

후속

고도화

’21년 기술이전 사업화(BM연계 R&BD) 과제 지원 기업

1,500

3

양방향 기술-수요 발굴 및 연계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356

기술-수요 발굴 및 연계, 기술매칭, BM수립 프로그램 지원

4

산학연계 인력양성

과학벨트 소재 이공계 대학

150

지역특화산업 관련 인력양성 프로그램 지원

5

과학벨트 연구회

과학벨트 내 산··연 전문가 등

200

연구회 구성·운영 후 과학벨트 혁신 신사업 R&D 기획

6

창업·성장지원

창업역량을 보유한 과학벨트 소재 대학

600

예비창업자 발굴, 아이템 검증, 멘토링 등 창업프로그램 지원

7

액셀러레이팅 지원

액셀러레이터 등 국내 민간법인

750

투자기업 발굴, 보육, 투자유치 등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지원

8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지원

해외진출 지원 역량을 갖춘 국내 민간법인

250

기업 맞춤 해외진출 프로그램 지원

9

과학사업화 종합지원

코워킹공간 운영 경험이 있고, 창업·기술사업화 지원 역량을 보유한 민간 전문기관

1,075

기능지구 SB플라자 내 비즈커넥트센터(BCC) 코워킹공간 운영 및 사업화 연계 지원

10

기업 후속성장지원

과학벨트 소재 기업

742

제품제작, 판로개척, 시험 인증분석 등 수요별 맞춤지원

 

<o:p></o:p>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의 세부 사업내용 및 첨부자료 안내

<o:p></o:p>

세부사업 시행계획, 관련 서식 등 첨부자료 다운로드 사이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https://www.msit.go.kr) - 사업공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홈페이지(https://www.innopolis.or.kr) - 사업공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사업관리시스템(https://pms.innopolis.or.kr) - 사업공고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 서비스 홈페이지(https://www.ntis.go.kr) - 사업공고

4. 신청자격, 신청방법, 선정절차 및 일정, 지원 제외대상 등 : 별첨 참조

<o:p></o:p>

별첨 :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세부사업 시행계획 참조

<o:p></o:p>

5. 관련 법령 및 규정, 보안등급 분류

<o:p></o:p>

관련 법령 및 규정

<o:p></o:p>

과학기술기본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o:p></o:p>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 시행규칙

<o:p></o:p>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o:p></o:p>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o:p></o:p>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o:p></o:p>

국가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관리 등에 관한 표준지침

<o:p></o:p>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운영관리지침

<o:p></o:p>

보안등급 분류 :국가연구개발혁신법시행령 제45조에 보안과제의 구분기준에 따라 보안등급 기재

<o:p></o:p>

6. 접수방법 및 문의처

 

세부사업별 공고 및 접수기간, 제출서류, 담당자 문의처는 별첨(세부사업 시행계획) 참조

 

<o:p></o:p>

접수방법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사업관리시스템(https://pms.innopolis.or.kr)을 통해 신청

<o:p></o:p>

(공고기간) ‘22. 2. 11.()~ 3. 14.()

<o:p></o:p>

(접수기간) 별첨 :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세부사업 시행계획 내 세부사업별 접수기간 참조

<o:p></o:p>

* 접수마감 종료일에는 제출 소요시간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여유있게 접수 바랍니다.(회원가입, 과제정보 입력, 부속서류 업로드, 과제 신청결과 확인 등 시간 소요 발생)

<o:p></o:p>

(문의처) 별첨 :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세부사업 시행계획 내 세부사업별 담당자 문의처를 확인하시어 사업 담당자에게 문의

<o:p></o:p>

7. 기타사항

<o:p></o:p>

세부사업 분야별 지원예산은 소관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책 등에 따라 변경 가능

<o:p></o:p>

관부처 정책에 따라, 사업지원을 위한 협약체결 전에 관련 법령 및 규정이 개정될 경우는 신규 법령 및 규정이 사업에 적용될 수 있음

<o:p></o:p>

세부사업별로 지원내용은 세부사업 시행계획(별첨)에서 정하는 방법 및 기준을 우선적용하며, 사업별 문의가 있을 경우 반드시 해당사업 담당에게 확인 바람

<o:p></o:p>

별첨 : 2022년 과학벨트 지원사업 세부사업 시행계획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