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8-29
org.kosen.entty.User@70b812dc
강지훈(kosen1)
발행기관
유정우
발행일
2000/12/30
첨부파일
이 자료는 보안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환경 문제의 심각성은 1980년 대 초기부터 선진국 과학 기술계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졌고,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의 결과, 리오 환경 회의 등 국제 환경 회의가 연달아 개최되고, 환경에 관련한 국제 규제 강화됨에 따라 각 정부는 환경 문제 해결이 관련 제품들의 경쟁력 확보라는 인식에서 환경 공해 저감 대책 및 환경 안전 제품 개발을 국가의 전략 연구군으로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선진국의 환경 관련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하였고, 환경친화 제품의 개발 생산이 앞다투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가가 주도하고 있는 화학 관련 환경 사업은 크게 다음과 같이 두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ㅇ 저공해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
ㅇ 인체 및 환경에 독성을 유발하는 제품의 대체 기술 개발
현재 저공해 데체 에너지 기술 개발의 중심이 되고 있는 액체 형태의 새로운 연료 개발은 식물성 재료를 원료로 하여,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지난 8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농산물을 원료로 하여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지난 80년대 초부터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농산물을 원료로 한 연료는 재생산성 연료로서뿐만 아니라, 식물의 성장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및 질소 화합물의 흡수와 산소의 방출 등 부가적 이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식물성 연료에는 석유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공해물질(발암성 방향족, 유황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연소시 공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셀룰로오스, 당분, 전분에서 발효되어 생산되는 알코올과 해바라기 콩 등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오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분자들에 대한 연료의 응용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그 결과 휘발유 대체하는 물질로는 바이오 에타놀을 화학 변화시켜 생산하는 Ethyl-tert-isobutylether(ETBE)가 사용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디젤 연료로는 유체유, 해바라기유 등, 식물성 오일과 메타놀과 반응시켜 얻은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있다.
동식물성 오일 등을 원료로 환경 친화 제품 개발 분야 역시 국가의 주요 전략 연구군으로 채택되어 활발한 연구 수행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제품들은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 없고, 환경에서 생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현재 주로 연구되는 제품군은 공업용 환경 분해성 고성능 계면 활성제, 항공기 및 자동차의 환경 분해성 합성 윤활유, 비독성 플라스틱 가소제 및 각종 첨가제, 비독성 용제 개발 등 매우 광범위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환경친화적 제품에 관련된 유럽의 주요 연구 현황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럽 대형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각 분야별로 연구 개발 동기, 현재까지의 연구 개발 성과 및 연구 개발 방향 그리고 국가의 전략/정책을 제품군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의 관련 기관에게 환경친화적 대체 물질 개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 바이오 대체 연료 기술 개발
1.1 개요
1.2 바이오 대체 연료와 환경
1.3 유럽의 바이오 청정 연료의 연구 개발 기관 및 방식
1.4 유럽의 바이오 청정 연료의 연구 현황
1.5 유럽의 바이오 연료 개발에 관한 맺음말
2. 환경 분해성 고성능 합성 윤활유 개발
2.1 개요
2.2 환경 ㅊ니화적 윤활유의 종류 및 특성
2.3 환경 친화적 합성 윤활유의 연구 현황
2.4 바이오 합성 윤활유의 맺는말
3. 바이오 용매(Solvant)의 개발
3.1 개요
3.2 연구 개발 현황
3.3 환경 친화 용매 개발에 관 맺음말
4. 환경친화 계면 활성제 기술 개발
4.1 개요
4.2 연구 개발 개요
4.3 환경 친화 계면 활성제 개발에 대해 맺는 말
5. 바이오 폴리머의 개발 개요
5.1 개요
5.2 바이오 폴리머의 개발 개요
6. 화학 공업의 기능성 첨가제 개발
7. 식물성 오일이용 산업의 부산물 활용 기술 개발
8. 결론 및 환경 친화적 제품 개발에 대한 국내 동향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