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8-29
org.kosen.entty.User@114bde2b
강지훈(kosen1)
발행기관
오현웅
현재 국내에서는 위성개발사업을 시작으로 발사장 건설계획 및 우주 산업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 하고 있다. 여기에 발사체 사정거리의 연장등은 호조건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주 산업은 연구자들만의 노력과 정열만으로 이루어지는 산업이 아니며 타산업에 비해 막대한 투자 및 정부의 추진력과 일관성이 요구되어지는 산업이다. 한국과 같이 초기 개발 단계에 있는 국가의 경우, 선진 우주기술국의 기술 개발단계에 있어서의 겅공 및 실패사례를 수집, 비교 검토함은 정책수립에 있어 예싼의 낭비와 실패의 전철을 피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될 것이다. 특히, 우리가 따라잡기 힘든 미국보다는 2차대전 패전후에 여러가지 어려웠던 여건들 속에서도 우주 개발을 착수하여 현재는 세계 세번째의 위성보유국이된 일본의 우주개발 역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 보고서에서는 일본의 최근 우주기술의 현황 및 전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우주산업과의 기술력을 비교, 향후 국내 우주산업 기술개발의 방향성과 상정되어진 미션의 검토 및 기술목표 설정에 참고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1. 일본 우주산업의 최신 동향
- 최근에 이어진 발사실패 후의 기술적 대응 방안
(문부성 우주과학연구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 향후 일본 우주산업개발 전략분야의 소개
(우주 기구/재료 및 우주구조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2. 우주산업분야에 있어서의 한국의 과제
3. 우주산업분야의 향후 발전 방향 및 한국의 대응전략
4. 수집기술 정보의 활용방안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