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S

분야

재료

발행기관

박철호

발행일

2000/01/25


첨부파일


이 자료는 보안 문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문서를 열람하시기 원하시는 분은 다음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암호 : www.kosen21.org 급속한 산업발전의 피할수 없는 부산물인 환경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휴, 폐금속광산이나 각종 산업폐수를 통해 유입되는 중금속은 주변 농경지와 지하수 및 하천 오염을 일으키고 있는데 다른 오염물질과는 달리 중금속은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일부 금속은 미량일 경우 동물이나 인체의 대사 과정에 꼭 필요한 필수영양소로 작용하지만 지속적으로 체내에 고농도로 축적되면 오히려 여러 가지 해를 끼치게 된다. 도금산업이나 도료산업 등의 산업활동을 통해서 오염된 지역의 지하수를 지상으로 퍼 올린 후 물리, 화학적 처리를 통해서 정화시킨 물을 다시 환경으로 되돌려 보내거나 혹은 오염이 심한 지역의 토양을 처리한 후 매립하는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정화하는데 드는 비용이나 시간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정화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각종 폐수나 자연환경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의 물리적, 화학적 공정들이 기술적인 혹은 경제저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최근 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중금속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은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동안의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생물학적 중금속 정화방법이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짐에 따라 미국의 환경부나 에너지성 등에서는 거액의 연구비를 지원하면서 연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를 통해 미국 국,공립기관의 환경관련 정책과 더불어 현재 개발되고 있는 신기술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한국의 당면과제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2장. Current Research on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s in the united states 제 1절.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US 1. Number of Contaminated Sites and the Remediation Cost 2. Chracteristiecs and Types of Contaminants 3. Current Cleanup Technologies 제 2절. Research on Bioremediation Sponsored by the US Government 1. US Department of Energy (DOE) 가. NABIR Program (1) Introduction (2) Research Projects 나. DOE Workshop on Bioremediation (1) Introduction (2) Research Projects 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가. Superfund Program 나. Superfund Basic Research Program 제 3절. Research on Bioremediation by US Universities 1. Heavy metal Precipitation using Microorganisms 2. Biological and Geochemical Cycling of Heavy Metals 3. Reduction of Cr(VI) using Bioreactor 4. Bioremediation of Contaminantsusing Anaerobes 제 4 절. Dissimilatory Metal Reduction 1. Introduction 2. Fe(III) Reduction 3. U(VI) Reduction 4. Cr(VI) Reduction 5. Hg(II) Reduction 6. Tc(VII) Reduction 제 5 절.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s 1. Introduction 2. Phytoextraction 가. Introduction 나. Application 2. Rhizofiltration 가. Introduction 나. Application 3. Phytostabilization 가. Introduction 나. Application 제 3 장. Strategies for the Application of Heavy metal Bioremediation in Korea 제 4 장. Suggestions for the Usage of the Report 제 5 장. Conclusion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