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기준 세계 주요국의 한시직(temporary works) 비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21.9%로 독일 13.1%나 일본의 7.2%, 영국 6.0% 등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
- 정치권과 정부에서는 차별 철폐, 무기직 전환 등 2000년대 중반 이후를 기점으로 비정규직 고용과 노동환경에 대한 보완책을 도입하고 있으나 여전히 30%대에서 정체되고 있는 상황
□ 출연(연)은 정부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현재도 전체 인력 중 비정규직이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수준으로, 그간 관련 정책은 R&D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임
- 출연(연) 비정규직 정책은 노동 및 재무적인 관점에서 주로 접근하면서 정부정책과 현장 간 괴리가 발생하는 등 부작용에 노정하여 국가 혁신체제의 관점에서 비정규 연구인력에 관한 과학기술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
□ 따라서 본 이슈 위클리에서는 국가 혁신체제에서의 출연(연)의 역할 및 성과의 관점에서 비정규직의 역할을 살펴보고, 특히 정규직 전환 이후에도 남게 되는 비정규 연구인력의 정책대안에 대해 고민함
- 이에 따라 국가 혁신의 관점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의 발굴과 파괴적 혁신을 위한 인력의 확보 및 고급 연구인력의 육성과 공급을 통한 수준 높은 연구성과 확산 등 과학기술 발전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사이버전쟁에서의 기만적 방어
-
[코센리포트] 환경/철강/반도체/소재/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체분리막 활용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
[동향보고서] 사이키델릭 치료제 연구동향
-
[동향보고서] SW 관련 주요 디지털 통상 규정의 배경과 내용분석
-
[코센리포트] 무선네트워크 보안위협 이슈
-
[코센리포트] 원자 교환에 기반한 암호화폐와 디지털데이터의 거래 및 교환
-
[코센리포트] 사용후핵연료의 수송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