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신체부착형 센서(전자피부) 기술 동향

분야

전기/전자

발행기관

이규택, 김효원, 고현협, 김재준

URL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목적

-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와 같은 액세서리형 또는 의류일체형으로 개발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대부분 호기심 차원의 구매가 많고 지속적인 사용동기를 유발하는 효용성 등이 떨어져 예상했던 것보다 시장 확산이 저조한 상황
- 이와 같은 한계상황을 타개할 기술적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차세대 기술로 인식되던 신체부착형 기술인 전자피부(e-skin)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
- 전자피부 기술은 피부에 부착하는 패치, 문신과 같은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의 안정성이 뛰어나 기존에 제공하지 못한 생체신호 기능을 구현하기 용이하고 건강관리 및 스포츠 분야뿐만 아니라 시장규모가 큰 의료시장에도 진입이 유망하여 향후 원격의료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됨

□ 주요현황

- 기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애플, 삼성, Fitbit 등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반면, 전자피부의 경우에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대학 중심의 소재 측면 타당성 검증 연구개발 후 기업과의 협력이 시작되는 단계
- 국내에서는 서울대, UNIST, KAIST 등 일부대학을 중심으로 전자피부 센서소자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이며 최근 반도체와 ICT 기술이 접목된 연구를 진행하기 시작

□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시장) 헬스케어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및 원격의료 시장으로 확산 전망
- (기술) 대학 중심의 연구지원에서 산학연 컨소시엄의 본격 연구개발로 전환 필요
- (정책) 신체부착형 기기의 산업화를 위한 제반 인프라 구축 및 규제완화 필요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