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스마트TV에 적용되는 주요 기술 및 관련 표준화동향을 소개하고 IoT와 연계서비스를 소개하
여 향후 스마트TV 생태계의 협력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주요현황
- 전통적으로 화질이 주요 요소로 작용하는 TV 시장은 최근 OLED 등을 통한 고화질 및 디스플
레이의 두께를 얇게하는 등 화질과 HW적인 재원 경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병행하여 TV자
체의 스마트 기능이 제시됨
-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장점으로 제시하는 스마트TV는 최근 IoT
기술과의 연동을 통한 기능과 서비스의 확장을 추구
- 스마트TV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하여 홈 IoT 제어를 위한 허브로의 기능을 확장하고 있으며 스
마트홈 서비스의 중심기기로 활용될 전망임
□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제조사별로 독자적인 플랫폼을 적용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개발과 병행하여 표준화를 위
한 협력이 진행되는 바 전략적 대응이 필요함
- 정보통신단말과의 연계를 위한 IoT 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방송서비스의 영역과 연계하는 서비
스와 기술개발로 획기적인 시장 성장이 전망됨
- 스마트TV 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IoT 기술,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 서비스사업자의 연계가
필요한 바 제품 및 서비스개발 단계에서 표준화와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전략적 지
원이 필요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사이버전쟁에서의 기만적 방어
-
[코센리포트] 환경/철강/반도체/소재/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체분리막 활용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
[동향보고서] 사이키델릭 치료제 연구동향
-
[동향보고서] SW 관련 주요 디지털 통상 규정의 배경과 내용분석
-
[코센리포트] 무선네트워크 보안위협 이슈
-
[코센리포트] 원자 교환에 기반한 암호화폐와 디지털데이터의 거래 및 교환
-
[코센리포트] 사용후핵연료의 수송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