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최근 조선 CAD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한 대응 전략 제
안
□ 주요현황
- 현재까지 조선 CAD는 생산설계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2개의 CAD 시스템이 전 세계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음
- 최근에는 중량산출, 용접각장 계산, 구조해석 모델 생성 등 기본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3D CAD
시장이 형성되고 있음
- 이러한 조선 CAD 시스템은 모두 해외에서 개발된 제품으로 고가 라이센스 정책 및 유지보수
비용 요구로 국내 중소형조선소의 시장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음
- 선박 설계 및 건조 시의 재작업을 줄이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선박설계 절차 도입이 필요하
며, 이러한 연구가 3D CAD를 기반으로 국내 및 일본에서 진행되고 있음
□ 시사점 및 정책제안
- 생산설계 단계에서만 적용되던 선박 3D 모델링을 이용한 설계 프로세스가 기본설계 단계로
상류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움직임은 기본구조설계를 지원하는 외산 기본설계 3D CAD가 국
내시장에 도입되며 가속화되고 있음
- 세계 일류의 조선, IT기술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선박설계 및 생산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소프트
웨어가 외국산이라는 것은 국내 조선기술 발전의 한계를 보여줌. 중장기적으로 조선 산업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2050 탄소중립 달성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믹스 관점에서의 바이오매스 복합발전 기술 및 산업 동향
-
[코센리포트] 건강한 노화를 위한 식단 조절
-
[코센리포트] 생성형 AI 주요 이슈 및 동향
-
[코센리포트] 주요국 우주개발 거버넌스 현황
-
[코센리포트] 우주탐사용 휴머노이드 개발 동향
-
[코센리포트] 차세대 리튬전지용 리튬 염(Li Salt) 연구 동향
-
[코센리포트] 스마트시티 기술 동향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