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창조경제 글로벌 정책동향 분석 및 기본전략 수립

분야

정보/통신

발행기관

강하연, 박지현, 김성옥, 최효민, 강반디, 오태현

URL


출처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기존 산업 및 신산업에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혁신역량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글로벌 트렌드 파악, 기술 흡수와 획득, 타 영역과의 융합, 다양한 장치·서비스·사용자·플랫폼과의 연결 등 이질적인 대상과의 협력과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글로벌화를 기반으로 신기술·자본·시장을 흡수함으로써 경쟁력과 성장가능성을 확보해야 하는 시점이다.
우리 정부는 스타트업 및 생태계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창업지원 플랫폼을 중심으로 유연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내·외 혁신주체 간 협력을 지원하는 중이다. 그러나 혁신생태계 발전 정도에 비해 글로벌화가 미흡한 실정이며, 혁신주체의 국내·외 혁신자원 활용의 한계에 직면하여 전략적인 글로벌화 지원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 혁신생태계의 글로벌 협력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주요국 혁신생태계의 글로벌화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 스타트업 및 혁신생태계의 글로벌화 전략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혁신생태계의 발달, 글로벌화 수준, 해외진출의 지역 거점 등을 고려하여 4개국을 선정하여(미국, 말레이시아, 이스라엘, 독일) 창업 생태계 및 정부의 창업 지원 정책의 특징을 분석하고 국별 협력방향 및 협력전략을 고찰한다. 연구 결과, 미국은 높은 시장 개방성 및 민간의 혁신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현지 플랫폼 및 보육 프로그램을 통한 진출 전략을 다각화하고 동시에 양국 간 민간협력 네트워크를 심화시키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말레이시아는 정부주도형 창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조성중이며 지리적·문화적 이점을 기반으로 주변국 시장 접근성을 보유하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현지 파트너십 구축 및 아세안 진입 연계를 위한 네트워크 확대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스라엘은 본글로벌 아웃바운드 특징을 보이며 현지 스타트업과 해외 대기업 간 협력이 활발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스라엘 네트워킹 플랫폼을 활용한 접근 방향 및 기술 이전, 기관 간 협력 방향을 정립하였다. 독일은 유기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보유하고 현지 지원기관의 글로벌지원이 확대중임을 고려하여 벤치마킹형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혁신생태계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의 글로벌화 방향을 재정립하고 국내·외 혁신자산 활용방안을 고려하여 글로벌 협력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후속연구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 및 관련 정부부처의 정책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주요국 협력전략을 기반으로 우리 생태계의 글로벌 역량을 제고하고 우리 기업의 주요국 생태계 진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